최근 미국에서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자리를 구하는 각종 방안이 언론에 제시되고 있다.
뉴스위크 인터넷판은 29일 이와 관련, 구직자가 하지 말아야 할 10가지 실수를 제시했다.
뉴스위크는 구직 전문가인 포드 마이어스의 말을 인용해 일자리 구하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도 중요하지만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포드 마이어스가 제시한 구직자들이 하지 말아야 할 10가지 실수.
▲온라인 구직노력 몰두 = 회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것처럼 보이지만 별로 의미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구직은 구직에 투입하는 시간의 5% 정도만 사용하면 된다. 지난 5년간 온라인 구직을 통해 일자리를 구한 고객은 단 2명에 불과한 반면 다른 수단으로 구직에 성공한 사람은 수백명에 달했다고 마이어스는 전했다.
▲무작위로 이력서 보내기 = 그렇게 보내진 이력서는 대체로 버려지거나 서랍에 정리되더라도 곧 잊혀진다. 마치 축제 때 뿌려지는 색종이와 같아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한테 전달될 확률이 거의 없다. 비즈니스에 정통한 사람으로 인식되지도 않는다.
▲공개채용 기다리기 = 최고의 일자리는 공개채용에서 얻기 쉽지 않다. 전체 구직의 40%가 특별한 구직자들만 위한 맞춤식으로 이뤄진다. 모든 기업은 필요한 것 또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자산이나 경험이 있다면 최고의 일자리를 찾게 될 것이다.
▲비효율적인 네트워크에 기대기 = 네트워크는 모든 구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부분이다. 개인적인 소개가 구직에 효율적일 수 있다. 주변사람들의 구직상황을 생각해보면 이발사나 우편집배원, 자동차 정비소 직원이나 이웃 등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을 통해 일자리를 얻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자신의 분야에 매몰된 네트워크를 넘어 많은 사람과 대화해야 한다.
▲무조건 일자리 구하기 = 성공적인 구직은 '아무' 일자리를 구하는 게 아니라 적성과 만족도, 경쟁력 있는 보상 등을 모두 고려한 일자리를 찾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구직시장이 어려운 만큼 아무 일자리라도 구하면 좋겠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계획 부족 = 각종 조사에서 많은 사람은 구직보다 휴가계획을 세우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구직을 위해서는 심사숙고해서 찾아낸 방법과 함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홀로 구직하기 = 구직에도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반드시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단체와 도서관, 교회 등에서 무료 또는 저렴하게 구직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구직을 맡기는 것 = 구직을 도와주는 사람이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자신을 가장 잘 아는 것은 자신뿐이다. 구직 도우미의 도움을 받더라도 본인이 구직을 위한 주도권을 놓아서는 안 된다.
▲부실한 면접준비 = 면접은 자신의 가치 분명하게 표현하기, 지원 회사에 대한 지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재치있는 질문하기, 보수 협상 등 5가지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는 모두 사전에 연습을 해야 하는 부분이다.
▲자신의 시장가치에 대한 무지 = 인터뷰에 앞서 자신의 가치를 찾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절대 먼저 자신이 원하는 급여수준을 말해서는 안 된다. 회사 측이 먼저 급여 등을 제시하게 만들어야 한다. 먼저 자신이 최고의 후보라는 것을 명확하게 만든 다음 급여 협상을 해야 한다.
2010년 9월 30일 목요일
2010년 9월 27일 월요일
[2010 대학평가] 포스텍 > 서울대, 연세대 > 고려대

상위권 대학의 순위 경쟁은 치열했다. KAIST는 교수연구 부문 9개 지표 가운데 교수당 연구비와 특허 등 5개에서 1위에 올라 종합성적 1위를 유지했다. POSTECH은 교수 연구와 교육여건이 좋아졌다. 이공계 분야 교수들은 지난해 가장 인용이 많이 된 논문(교수당 40번)을 썼고, 전체 전공 강의의 절반을 영어로 했다. 특히 POSTECH은 학생 한 명당 교육비(5508만원)가 다른 대학(평균 974만원)을 앞서 교육여건 전국 1위를 해 서울대를 3위로 밀어냈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국제화에서 순위가 갈렸다.
경희대는 처음으로 7위에 올랐고 이화여대도 10위로 두 단계 뛰었다. 경희대는 지난 1년간 외국인 교수가 93명에서 125명으로, 과학기술 국제 논문이 789편에서 903편으로 늘어나 국제화와 연구부문 성과가 밑받침이 됐다.
10~20위권은 순위 변화가 심했다. 지난해 18위였던 아주대가 13위로, 30위권대였던 숙명여대도 19위로 급부상했다. 또한 올해 분교를 운영중인 대학 9곳 가운데 본·분교 분리를 희망하는 4곳은 분리 평가를 했다. 그 결과 동국대는 서울캠퍼스가 17위(경주 캠퍼스 49위)를 차지했다. 국립대 가운데는 전북대가 30위권에서 22위로 가장 많이 향상됐다.
대학 재학생 수에 따라 ▶인문사회 중심 ▶이공계 중심 ▶종합계열 중심대학으로 세분화한 평가도 진행했다. 인문사회 중심은 고려대, 종합계열은(인문사회와 이공계 학생수 비슷) 서울대가 1위로 분석됐다. 대학 발전 목표를 교육중심으로 정한 전국 30곳 중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숙명여대·한동대가 1~3위에 올랐다.
대학평가팀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reporter/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