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사례연구 [Case Study]

 

1. 사례연구의 개념

사례연구(case study)는 개인이나 집단 등을 하나의 단위로 선택하여 정밀하게 조사·연구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때문에 사례연구는 사례분석, 개인조사, 현장연구, 사례분석 등 많은 유사 용어가 있다.
많은 수의 표본을 수집하여 제한된 변수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면서 일반적 경향을 밝히는 표본연구나 통계적 연구와는 달리, 사례연구는 한 대상의 여러 가지 변수를 동시에 심층적으로 연구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참여 관찰·청취·면접 등이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사례연구는 조사연구에서와 같이 현재 상황에 대한 경정을 내린다거나, 또는 그 상황이 어떻게 되었는가를 알아보는 것 이외에 그렇게 된 이유까지도 구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에 일반화를 위한 조사연구나 실험연구가 수행될 때, 그의 가설형성에 도움을 준다.
사례연구는 하나의 대상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변수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고, 사례의 제한성 때문에 결론을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2. 사례연구의 발전과정

사례연구는 모든 분야에서 각각 발전하였다. 그러나, 사례연구가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이론적인 기초를 발전시킨 분야는 여러 종류의 표본조사가 제약되어 있는 법학과 의학 분야에서이다. 법조계에서는 지금부터 100여 년 전 조직적인 사례연구가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1870년경 하버드대 법과대학원에서 사법부의 판례가 대학원 교육에 활용되었다(황응연·윤희준, 1987).
이와 같이, 사례연구는 법학 분야에서 체계화되어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법학 분야에서는 유사한 사건에 대하여 형량이 어떻게 결정되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적인 판례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사례연구를 적용해 왔다. 또, 이러한 판례연구는 예비 법관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활용되기도 한다.
한편, 사례연구는 의학 분야에서도 많이 적용되어 왔다. 실험적 상황을 만드는데 제약이 있는 의학 분야에서의 연구는 병에 걸려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적으로 병력을 조사하고 추적하여 진단과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사례연구가 교육학 연구 방법으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홀랜드(Holland, 1981)는 모든 개인은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도 매우 다양하며, 따라서 연구에서도 각 개인별 사례연구가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3. 사례연구의 유형

사례연구는 한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사례에 관심을 둔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과 적용된 방법, 그리고 연구대상의 특성과 학문 분야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례연구라고 하면 다음과 세가지 경우를 통틀어서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첫째, 사례적 방법(case method)이다. 이는 교수방법의 한 가지로, 사례적 연구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법률·의학·상업 등의 교육에서 일반원리를 강의나 교과서에 의해서 학습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도록 함으로써 사례의 현상과 관련 원리를 이해, 발견하도록 하는 교수방법으로서 보는 방법이다.
둘째, 케이스 워크(case work)이다. 이것은 사회복지사업 등에서 개인의 사회적 부적응을 개별적인 방법으로 지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이다. 학교교육에서는 학생 개인의 부적응 현상을 극복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개인적 사례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조사연구이다.
셋째, 사례연구(case study)이다. 사회현상의 조사에서 표본에 의한 통계적 연구법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람·집단·제도·공동체 등의 사회적 단위의 전 생활과정 또는 그 일부에 대해서 정밀한 분석을 시도해서, 내면적 인자의 복잡다단한 상관을 분명하게 하여 그 사례의 독자적인 유기적 구조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조사법의 유형으로, 개별조사법 또는 사례조사법이 있다.

4. 사례연구의 일반적 특징

첫째, 사례연구는 연구대상에 대한 심층조사이다.
둘째, 사례연구는 연구대상의 규모는 작지만 많은 변인들을 포함하게 된다. 몇 개의 변인들을 가지고 큰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와는 크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례연구의 자료수집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적·양적 방법 모두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사례연구는 기초연구로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서 그 결과는 일반화를 지향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5. 사례연구의 일반적인 절차

① 사례(특정한 학생 또는 기관 및 집단)를 확인을 하는 단계이다.
② 사례연구의 대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례에 대한 관심이 적기 때문에 모집단을 상정하고 일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많은 사례를 대상으로 하게 된다.
③ 사례연구의 목적을 분명하게 하는 일이다.
④ 사례연구의 자료수집 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사례연구에서 자료수집은 면접, 관찰, 문서 등의 질적인 자료에 의존하지만, 설문조사나 기타 양적인 자료 수집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⑤ 발견된 결과들을 기술·정리하고, 그들의 의미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구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류창열(1998), 교사를 위한 교육연구기법, 배영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 대백과사전, 하우동설.

류창열(충남대학교 교수)

 

빠른소식을 원하신다면 또는 Add to Google로 구독하시면 편리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