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30일 목요일

"이렇게 하면 절대 취직 못해" 금기 10계명

최근 미국에서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자리를 구하는 각종 방안이 언론에 제시되고 있다.

뉴스위크 인터넷판은 29일 이와 관련, 구직자가 하지 말아야 할 10가지 실수를 제시했다.

뉴스위크는 구직 전문가인 포드 마이어스의 말을 인용해 일자리 구하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도 중요하지만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포드 마이어스가 제시한 구직자들이 하지 말아야 할 10가지 실수.

온라인 구직노력 몰두 = 회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것처럼 보이지만 별로 의미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구직은 구직에 투입하는 시간의 5% 정도만 사용하면 된다. 지난 5년간 온라인 구직을 통해 일자리를 구한 고객은 단 2명에 불과한 반면 다른 수단으로 구직에 성공한 사람은 수백명에 달했다고 마이어스는 전했다.

무작위로 이력서 보내기 = 그렇게 보내진 이력서는 대체로 버려지거나 서랍에 정리되더라도 곧 잊혀진다. 마치 축제 때 뿌려지는 색종이와 같아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한테 전달될 확률이 거의 없다. 비즈니스에 정통한 사람으로 인식되지도 않는다.

공개채용 기다리기 = 최고의 일자리는 공개채용에서 얻기 쉽지 않다. 전체 구직의 40%가 특별한 구직자들만 위한 맞춤식으로 이뤄진다. 모든 기업은 필요한 것 또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자산이나 경험이 있다면 최고의 일자리를 찾게 될 것이다.

비효율적인 네트워크에 기대기 = 네트워크는 모든 구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부분이다. 개인적인 소개가 구직에 효율적일 수 있다. 주변사람들의 구직상황을 생각해보면 이발사나 우편집배원, 자동차 정비소 직원이나 이웃 등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을 통해 일자리를 얻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자신의 분야에 매몰된 네트워크를 넘어 많은 사람과 대화해야 한다.

무조건 일자리 구하기 = 성공적인 구직은 '아무' 일자리를 구하는 게 아니라 적성과 만족도, 경쟁력 있는 보상 등을 모두 고려한 일자리를 찾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구직시장이 어려운 만큼 아무 일자리라도 구하면 좋겠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계획 부족 = 각종 조사에서 많은 사람은 구직보다 휴가계획을 세우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구직을 위해서는 심사숙고해서 찾아낸 방법과 함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홀로 구직하기 = 구직에도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반드시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단체와 도서관, 교회 등에서 무료 또는 저렴하게 구직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구직을 맡기는 것 = 구직을 도와주는 사람이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자신을 가장 잘 아는 것은 자신뿐이다. 구직 도우미의 도움을 받더라도 본인이 구직을 위한 주도권을 놓아서는 안 된다.

부실한 면접준비 = 면접은 자신의 가치 분명하게 표현하기, 지원 회사에 대한 지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재치있는 질문하기, 보수 협상 등 5가지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는 모두 사전에 연습을 해야 하는 부분이다.

자신의 시장가치에 대한 무지 = 인터뷰에 앞서 자신의 가치를 찾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절대 먼저 자신이 원하는 급여수준을 말해서는 안 된다. 회사 측이 먼저 급여 등을 제시하게 만들어야 한다. 먼저 자신이 최고의 후보라는 것을 명확하게 만든 다음 급여 협상을 해야 한다.

2010년 9월 27일 월요일

[2010 대학평가] 포스텍 > 서울대, 연세대 > 고려대

[중앙일보] POSTECH(포스텍·옛 포항공대)이 2010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전국 2위에 올랐다. KAIST가 2008년 이후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맞수인 연세대와 고려대는 올해 각각 4, 5위로 1년 만에 자리를 맞바꿨다. 올해 대학평가는 전국 4년제 93개 대학(지난해 88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교육여건(95점), 국제화(70점), 교수연구(115점), 평판·사회진출(70점) 등 4개 부문 점수를 합산해 종합성적을 매겼다. 전국 4년제 대학 기획처(실)장들의 협의체인 전국기획처장협의회가 자문단(8명)을 구성해 지표 기준, 가중치, 점수 합산 방식 등을 결정했다.

상위권 대학의 순위 경쟁은 치열했다. KAIST는 교수연구 부문 9개 지표 가운데 교수당 연구비와 특허 등 5개에서 1위에 올라 종합성적 1위를 유지했다. POSTECH은 교수 연구와 교육여건이 좋아졌다. 이공계 분야 교수들은 지난해 가장 인용이 많이 된 논문(교수당 40번)을 썼고, 전체 전공 강의의 절반을 영어로 했다. 특히 POSTECH은 학생 한 명당 교육비(5508만원)가 다른 대학(평균 974만원)을 앞서 교육여건 전국 1위를 해 서울대를 3위로 밀어냈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국제화에서 순위가 갈렸다.

경희대는 처음으로 7위에 올랐고 이화여대도 10위로 두 단계 뛰었다. 경희대는 지난 1년간 외국인 교수가 93명에서 125명으로, 과학기술 국제 논문이 789편에서 903편으로 늘어나 국제화와 연구부문 성과가 밑받침이 됐다.

10~20위권은 순위 변화가 심했다. 지난해 18위였던 아주대가 13위로, 30위권대였던 숙명여대도 19위로 급부상했다. 또한 올해 분교를 운영중인 대학 9곳 가운데 본·분교 분리를 희망하는 4곳은 분리 평가를 했다. 그 결과 동국대는 서울캠퍼스가 17위(경주 캠퍼스 49위)를 차지했다. 국립대 가운데는 전북대가 30위권에서 22위로 가장 많이 향상됐다.

대학 재학생 수에 따라 ▶인문사회 중심 ▶이공계 중심 ▶종합계열 중심대학으로 세분화한 평가도 진행했다. 인문사회 중심은 고려대, 종합계열은(인문사회와 이공계 학생수 비슷) 서울대가 1위로 분석됐다. 대학 발전 목표를 교육중심으로 정한 전국 30곳 중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숙명여대·한동대가 1~3위에 올랐다.

대학평가팀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reporter/

2010년 6월 22일 화요일

정비료 인상·손해율 상승…하반기 車보험료 큰 폭 오르나

정비료 인상·손해율 상승…하반기 車보험료 큰 폭 오르나

'OBD 무료임대' 상품 출시예정에도 대부분 할인제도는 지지부진

 

자동차 정비요금 인상,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등으로 하반기 자동차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요일제 차량 및 중고부품 이용 차량 등 자동차보험료 할인 관련 제도들은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지난 18일 자동차보험 적정 정비요금을 종전보다 18% 오른 2만1553~2만4252원으로 정했다.

보통 정비요금이 1000원 인상되면 자동차보험료는 1%의 인상 요인이 생긴다. 이에 따라 이번 정비요금 인상으로 보험료는 평균 3.4% 오를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보험개발원이 금융당국에 신고한 자동차보험 특별요율 변경안 에 따르면, 오토매틱(자동변속기) 차량 운전자에 대한 할인 혜택이 사라진다.

현재 오토 차량에 대해 현대해상과 LIG손보는 보험료를 3.3%, 메리츠화재는 1.7%, 하이카다이렉트는 6%를 각각 깎아주고 있다.

또 ABS(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장착 차량에 대한 보험료 할인 폭도 현행 3%에서 1.5%로 축소된다.

들쑥날쑥하고 있는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보험료 인상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거둬들인 자동차보험료에서 피해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금의 비율로, 보험사는 적정 손해율을 72% 정도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73.7%, 4월 72.7%였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달 76.7%로 급등했다.

앞으로 7~8월 휴가철이나 추석 연휴기간이 있는 9월을 비롯, 하반기는 통상 상반기보다 손해율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자동차 보험료 할인을 위해 마련된 제도들은 실적이 미미하거나, 아예 상품 판매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달부터 시행된 요일제 자동차보험의 경우 기계값 부담과 보험사들의 홍보 부재, 판매 채널 부족 등으로 외면받고 있다.

1년간 3회까지 지정한 요일에 차를 운행하지 않으면 보험료의 8.7%를 깎아주지만, 실제 운전자들의 호응도는 낮다.

차량 운행정보확인장치(OBD) 제작업체 오투스에 따르면, 지난 14일까지 447개의 주문만 들어왔다.

2009년 10월 현재 전국의 요일제 차량보험 적용대상 차량이 975만7020대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극히 저조한 실적이다.

이같이 판매가 부진한 이유는 비싼 OBD가격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할인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구입해 설치해야 하는데, OBD 가격은 기계값 4만 5000원에 부가세 10%를 더해 4만9500원에 달한다. 기계값을 감안하면 실제 할인혜택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메리츠화재는 제도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다음 달부터 요일제 자동차보험 가입자에게 OBD를 무료로 임대해줄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수리시 중고부품을 활용하면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자동차보험상품 출시도 늦어질 전망이다. 보험업계가 중고부품활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인프라 구축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개발원은 현재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 중고부품 활용시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자동차보험상품 도입을 위한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이 상품은 연식 3년 이상인 자신의 차량을 수리할 때, 새 부품 대신 중고 부품을 사용하면 자기차량피해보험의 보험료를 7~8% 깎아준다. 금감원은 차량 앞문과 뒷문, 보닛, 옆 거울 등 14개 부품에 우선 적용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중고부품을 통해 차량을 수리할 경우에만 보험료를 할인해주기 때문에, 유통전산망 구축 및 품질인증제도 도입 등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보험개발원은 유통전산망 구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현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함과 동시에 전산망 구축을 위한 준비까지 병행하고 있다”며 “TF팀이 구성돼 활동한지 약 2개월이 지난 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2010년 6월 1일 화요일

질병분류코드 ( 아마존 질병코드집 사용기 )

아마존인슈라는 회사와 거래를 했는데 매우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선물로 받게 되었습니다.

 

일명 아마존질병코드집~!! (질병분류코드)

(아마존 질병코드집)

 

 

 

이프로그램의 존재목적은 보험설계사나 보험가입고객에게 질병에 대해 쉽게 검색해볼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인거 같습니다. 질병에는 각각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들이 모두 한글과 함께 탑재되어 있고,

 

이또한 영문으로 즉시 바꾸어 볼수있어 포털사이트에서 더욱 전문적인 검색이 가능하겠내요

 

(장난삼아 치질을 쳐봤는데요 ㅋㅋ 오른쪽 상세항목에 보니 별의별 치질이 다있내요 -_-ㅋ

 순간 치질이 영어로 뭘까 궁금해졌습니다. 위에 영문명을 체크해보니......)

 

 

(헤모로이드라고 하는건가보군요 의사들이 처방전내릴때 샤바샤바 영어로 휘갈기는거 있잖아요?

이게 저런걸 쓰는건가봅니다 의사들 저걸 다외울라면 머리좀 아프겠내요 하하...)

 

 

 

아마존 질병코드집이 다른 여러 질병코드집과 차별화된 점은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에서도 검색이 가능하다는 점~~ 물론 인터넷을 연동하여 사용할수도있구요

 

우리나라가 아무리 네트워크가 강국이라 해도 집이 아닌 야외나 다른장소에서 인터넷을 하기가 쉽지

 

만은 않은데 오프라인상태로도 사용할수 있도록 해놓은 개발자의 배려가 보이내요~~

 

 

(이렇게 내가 궁금한 병 명을 드래그하면 오른쪽에 창이 하나 생겼죠? 인터넷이 되는곳에서는 '네이버

 지식인'이나 '백과사전'을 검색할수도있고요 인터넷이 안되는곳에서는 '아마존질병사전검색'을 클릭하면 상세한 내용이 나오내요^^ )

 

 

 

또 하나.. 정말 개인적으로 정말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기능~

 

바로 장.해.분.류.판.정.기.준~~~~ 만약에 내가 눈을 다쳤는데..보험료지급률이 얼만지 바로

 

알고 싶다면? 아마존질병코드집을 실행하고 '장해등급표'를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가 나옵니다↓↓

 

 

( 이로써 보험회사에 전화해서 복잡하게 상담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클릭만으로 알아볼수있다~! )

 

 

 

 

이밖에도 인체골격정보를 한눈에 볼수 있고 여러 보험회사별 상품공시실이 링크되어 있어 간편하게

 

연결시켜주는 페이지도 있습니다. 다른 여러 기능들이 많지만 시간 관계상 여기까지 쓰겠습니다^^

 

제일 맘에 드는건 개발중인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한번 가지고

 

있으면 새로운 기능이 나올때마다 모든 헤택을 누릴수 있다고 합니다.

 

거래 한번 한것뿐인데 이런 유용한 씨디도 주고 참 기분좋은 회사같내요.

 

혹시... 관심있으신분들을 위해 링크 걸어둡니다 ^^

 

http://www.fcteam.co.kr/etc/ad_illness_main.asp

2010년 4월 29일 목요일

연봉 많이 받고 싶으면 서울을 떠나라?

매출 1000대기업..평균 연봉 4757만원
울산, 대전, 충남 순..석유에너지 업종 5950만원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평균 연봉 5333만원을 받는 울산 지역 직장인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매출액 최대 1000대 기업 가운데 436개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울산에 이어 대전이 5070만원, 충남 4999만원, 경남 4978만원, 서울 4855만원, 전남 4797만원, 경북 476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인천 4662만원, 강원 4547만원, 경기 4528만원, 전북 4228만원, 부산 4223만원, 광주 4150만원, 충북 3839만원, 대구 3723만원으로 평균 연봉인 4757만원보다 낮은 지역으로 꼽혔다.

업종별로는 석유·가스·에너지가 595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조선·중공업 5521만원, 화학 5434만원, 금융 5148만원, 항공·운송 5070만원, 건설 4939만원, 자동차·기계 4835만원, 의약품 4735만원, 오락·문화·교육 4654만원, 통신·IT 4583만원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성별에 따라 평균 연봉이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평균연봉이 4914만원으로 평균 3133만원인 여성보다 1781만원이나 더 높았다.

2010년 2월 23일 화요일

운전중 사고율이 높은 직업 베스트10 은?

안녕하세요, 오토앤모터입니다.

재밌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한 인터넷사이트에서  '운전 중사고율이 높은 직업 BEST 10'을 발표했는데요,



미국의 보험비교사이트인 인슈어런스닷컴에서는
해당 사이트를 사용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과거 보험금을 청구한 사람들의 직업을 조사해
직업별로 나눠보았습니다.

아무래도 보험금 청구가 많을수록, 사고가 많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자동차 사고가 많은 직업? 뭐였을까요?
'내가 곧 법이요' 총알 택시 운전사? 
아니면 운전이 미숙한 김여사?

예상 외의 정말 의외의 결과가 발표되었는데요,



조사 결과,  베스트 1위는 '변호사,판사'로, '변호사,판사'가입자 중 44%가
보험금 청구를 했던 적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무래도 밀린 업무로 인해 운전중 전화를 한다던가, 잦은 도심 운전이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혹은 '법'에 빠삭하니, 사고시 청구를 빼먹지 않았을 수도 있구요.

반면 가장 사고율이 낮았던 직업은 운동선수(17%)와 주부(24%)였다고 합니다.
인슈어런스닷컴 측에서는 운동선수나 주부 모두 러시아워에 운전할 기회가 적은 것이, 사고율이 낮은 이유일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그럼 운전중 사고율이 높은 직업 BEST 10을 종합적으로 확인해 볼까요?

1위:변호사·재판관
2위:금융 전문가
3위:중요 부서의 과장급 이상, 공무원
4위:바텐더/웨이터
5위:그 외의 전문직
6위:애견 미용사
7위:마케팅/광고 관련
8위:이용사·헤어 스타일리스트
9위:코치
10위:간호사

<수입차 전문 블로그 - 오토앤모터>

2010년 2월 7일 일요일

윈도우XP Black Edition 테마

http://bbss.wo.tc/38

 

- 윈도우XP 블랙에디션 테마로 바꾸기 -

 

이제는 너무나도 익숙한 푸른색의 윈도우 XP 테마를 블랙에디션 테마로 바꿔 보겠습니다.

윈도우를 새로 깔아야 하는게 아니라 윈도우 테마만 바꾸는 것입니다.

윈도우 테마가 지겨운 분들 한번쯤 바꿔보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 바꿔보세요.

 

 

 

1. 위의 첨부한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풉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universal_uxtheme_patcher_v1[1].3-whddlwjqrl36 파일은 테마 적용 프로그램이고,

나머지는 바꾸려고 하는 블랙에디션 테마 파일입니다.

 

 

 

2. 테마 적용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테마 적용 프로그램을 실행 시킨 이미지 입니다.

바로 패치!! 실행해주세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패치가 끝나면 이런 메세지가 나오는데 패치가 완료 되었으니 컴퓨터를 재시작

하겠냐고 묻는 것 이니 예(Y) 를 클릭해주세요.

 

 

3. 디스플레이 적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재부팅을 하였으면 위 이미지 처럼 BlackEdition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정보에서 블랙에디션으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확인하시면 끝 깔끔한 블랙에디션으로 윈도우를 즐기세요~

 

 

4. 블랙에디션 테마 적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깔끔한게 좋네요..

 

윈도우XP 최적화 요약

Windows XP 최적화 54팁 (최강XP를 위한 팁&테크 내용 목록) 1. DOS모드에서 XP설치 하는 방법 2. 메뉴팝업속도를 빠르게 하기 3. CD-ROM 자동인식 비활성화 ...


Windows XP 최적화 54팁

(최강XP를 위한 팁&테크 내용 목록)
1. DOS모드에서 XP설치하는 방법
2. 메뉴팝업속도를 빠르게 하기
3. CD-ROM 자동인식 비활성화
4. 인터넷익스플로러 로딩속도 향상법
5. 오류 보고(MS전송)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6. 입력도구모음 없애기
7. <시작>에서 문서메뉴 삭제하기
8. 폴더창 속도향상하기
9. 임시인터넷 파일크기 최대한 줄이기
10. 다운로드 갯수 변경하는 방법
11. <시작>에서 도움말메뉴 삭제하기
12.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13. 내컴퓨터등 기본아이콘 보이게하기
14. 폴더를 열었을때 화일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속도 향상
15. 실시간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기
16. 아이콘에 오른쪽 클릭해서 [보내기 메뉴]에 메모장등을 추가하는 방법
17. L2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
18. 캐쉬메모리 체적화로 속도 높이기
19. 내컴퓨터의 [공유문서] 제거방법
20. Windows Messenger 삭제하는 방법
21.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22. 시스템종료 로그오프창 고전적인 형태로 변경하기
23. 윈도우 시작시 자동로그온방법
24. msconfig에서 필요없는 서비스항목 해지하여 부팅속도 올리기
25. 바탕화면 단축아이콘에서 화살표 없애기
26. 바탕화면 아이콘 폰트 투명하게 하기
27. 저사양 컴터에서 잘 돌아가게 하는방법
28. 프로그램오류시 시스템 재부팅 방지
29. NumberLock설정방법
30. MSN Explorer제거방법
31. 빠른 웹서핑을 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최적셋팅법
32. 시작메뉴의 로그오프 없애기
33. 회사이름과 사용자 이름 바꾸기
34. 인터넷 익스플로러 로고 바꾸기
35. 시스템 등록 정보에 로고 추가하기
36. 로그온 때 메시지 띄우기
37. DirectX 버전 확인방법
38. 자신의 윈도XP 정품 인증 확인방법
39. 그룹정책(GPEdit)실행으로 시스템 설정하기
40. 익스플로러 시작시 풀스크린으로 항상 시작
41. DMA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조건
42. 방화벽설정/제거방법
43. 종료로고만 나오고 전원안꺼질때
44.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목록지우기
45. 휴지통이름 변경방법
46. 파일시스템 FAT/NTFS장단점
47. 비디오카드 지원 모든 해상도 보는방법과 사용법
48. 실행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49. Shift키의 10가지 기능
50. 베드섹터 검사및 베드섹터 복구하는 방법
51. 부팅후 및 탐색기실행시 A드라이브 안 읽게 하기
52. 하드가 이유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때
53. BootVis 를 이용한 부팅 최적화
54. Fdisk 올가이드
**********************************************************************
[XP팁1] DOS모드에서 XP설치하는 방법

XP cd의 i386아래에 있는 winnt.exe가 dos모드에서 XP를 설치하는 프로그램이다.
도스모드 부팅시 smartdrv.exe 프로그램을 실행후 XP를 설치하면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도스모드 XP인스톨방법에 질문이 많아서 쉽게 정리해본다.
1.도스부팅티스켓(Win98/me부팅디스켓,XP에서 포맷시 만들수있는MS-Dos부팅
디스켓)으로 부팅한다.
2.smartdrv.exe를 실행한다.
3.윈도우XP CD의 winnt.exe가 있는 위치를 지정한다.
4.실행한다.

[XP팁2] 메뉴팝업속도를 빠르게 하기

메뉴창이 열리는 속도가 느린것을 감지할수 있는데 빠르게 하는 방법이다.
시작 -> 실행창에서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창을 뛰운후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desktop에서 MenuShowDelay항목의 값이 기본 400으로 셋팅되어 있

는데 이 값을 0 에서 400 사이에서 바꾼다.(0의 값이 최고 빠르다)

[XP팁3] CD-ROM 자동인식 비활성화

윈도우에서 새로운 CD를 삽입하였을때 autorun.inf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Off하려

면 regedit를 실행하여 다음 값을 변경한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001ServicesCdrom에서 Autorun값을 `0`으로 한다

[XP팁4] 인터넷익스플로러 로딩속도 향샹법

1) DNS캐쉬수정으로 브라우저속도 높이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Dnscache
Parameters에서 다음항목의 값을 입력한다(없으면 새로 오른쪽 마우스 클릭
하여 새로만들기->DWORD값-10진수로 만든다)
CachehHashTableBucketSize---->1
CachehHashTableSize---------->384
MaxCacheEntryTtlLimit-------->64000
MaxSOACacheEntryTtlLimit---->301

2)HKEY_USER.Default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InterSettings에서 새로만들기-->DWORD값을 다음과 같이 만든다(값은 16진
수로 선택한다)
MaxConnectionsPerSever------>20
MaxConnectionsPer1_0Sever--->20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terSettings에서도 위와 같이 값

을 만든다
MaxConnectionsPerSever------>20
MaxConnectionsPer1_0Sever--->20

3)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RemoteComputerNameSpace
에서 {D6277990-4C6A-11CF-8D87-00AA0060F5BF} 폴더 자체를 삭제

[XP팁5] 오류 보고(MS전송)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1) 시작->제어판->성능 및 유지 관리->시스템
2) 시스템 등록정보창이 나타나면 [고급]탭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오류보고 버튼
을 클릭한다.
3) 오류보고 대화상자에서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른
다.

[XP팁6] 입력도구모음 없애기

[제어판-국가및언어옵션-언어-자세히...-설치된서비스]에서
[한글입력기(IME2002)]만 있으면 [추가]를 눌러서 [영어]를 추가해준다.
[한글입력기(IME2002)]를 선택하고 [기본설정-입력도구모음]에서 모든 체크를 없애면 입력도구모음

이 없어진다.(추가한 영어는 제거한다)
한자를 쓸때 입력도구모음이 필요하면 [작업표시줄-오른클릭-도구모음-입력도구모음]에 체크하면

다시 나타난다.

[XP팁7] <시작>에서 문서메뉴 삭제하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PoliciesExplorer 오른쪽에
등록→DWORD값에서 NoRecentDocsMenu입력하고 값을 1로 입력

[XP팁8] 폴더창 속도향상하기

제어판에서 ``폴더옵션``을 실행한 다음, ``보기`` 메뉴탭을 선택하고
``고급설정`` 부분에서 ``폴더 및 바탕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와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그리고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창 실행``의 체크를 해제하여 속도 향상

[XP팁9] 임시인터넷 파일크기 최대한 줄이기

임시인터넷파일 보관폴더의 적정크기는 100MB~200MB정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다.

[XP팁10] 다운로드 갯수 변경하는 방법

1. [시작]→[실행]에서 ``regedit``를 입력하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 후, 다
음 키 값을 찾는다.
2.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Internet Settings
3. 이 키 또는 오른쪽 창의 빈 공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등록]
→[DWORD 값]을 선택한다.
4. 새 DWORD 값의 이름에 ``MaxConnectionsPerServer``라고 입력한다.
5. 이 값을 더블클릭하고 값의 데이터 란에 원하는 다운로드 갯수를 입력한다.

[XP팁11] <시작>에서 도움말메뉴 삭제하기

도움말 항목을 안보이게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1.시작-실행-REGEDIT
2다음 경로를 찾아간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PoliciesExplorer]
이 경로에서 [새로만들기]에서 [DWORD값]을 하나 만들고
이름을 [NoSMHelp]으로 한다
3.더블 클릭해서 데이터 값을 1로 지정한다
4.재부팅하거나 로그오프하면 설정이 적용된다
5.복원하시려면 값을 0으로 한다

[XP팁12]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윈도우즈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창의 최대화 , 최소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도 속도를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여기서는 그 속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로이동 우측 화면에서 마우

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문자열 값``을 선택하고
MinAnimate라고 입력한다.그다음 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을 ``0``으로 설정
한다. 이것으로 창이 열리거나 닫힐때 최대화 , 최소화 애니메이션 표시가
되지 않아 창의 표시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XP팁13] 내컴퓨터등 기본아이콘 보이게 하기

XP를 설치하고나면 바탕화면에 휴지통만 보인다. XP의 시작그룹속에 모투 내장되었기 때문인데 이

전처럼 바탕화면에 기본아이콘이 보이게 할려면 바탕화면에서 오른쪽마우스클릭-->속성-->바탕화면

-->바탕화면사용자지정
-->내바탕화면아이콘에서 필요 항목 체크인하면 된다.

[XP팁14] 폴더를 열었을때 화일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 속도 향상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Update 로 이동.
오른쪽 창의 ``UpdateMode`` 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고 수정을
선택,value를 1에서 0으로 바꾼다.


[XP팁15] 실시간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기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면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감상할수 있다. 하지만 용량이 큰 동영상을 실시

간으로 감상하다 보면 연결이 끊기거나 잠깐 멈췄다가 다시 재생되는 등 여러 가지 접속 에러가 자

주 생긴다. 이럴 때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다.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옵션] 메뉴를 누른다.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성능]

탭을 고른다.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T1(1.5Mbps)`를 선택한다.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에서는 버퍼를 10초로 지정한다.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UDP` 항목

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른다.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한다.


[XP팁16] 아이콘에 오른쪽 클릭해서 [보내기 메뉴]에 메모장등을 추가하는 방법

`C:Documents and Settings****SendTo`라는 폴더가 있는데, 이곳에 메모장 아이콘을 복사해 넣

기만 하면 된다. `SendTo` 폴더는 숨겨져 있으므로 보이지 않는다면 탐색기의 [도구]→[폴더옵션]

메뉴를 고르고 창이 뜨면 [보기] 탭으로 이동한 뒤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항목에 체크 표시하

면 된다. 이미지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등도 등록해두면 요긴하게 쓸 수 있

다.

[XP팁17] L2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

Secondlevel Datacache(L2Cache) 는 CPU의 작업속도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펜3코퍼마인에 내장된 CPU와 같은 속도로 동작하는 이 빠른 L2캐쉬에 데이타를 일정량 올려놓을 수

있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엄청 느린 메모리로만 데이터를 처리할때보다 작업효율이 더욱 뛰어날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xp가 cpu와 L2Cache의 값을 자동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종 xp가 이것을 할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cpu의 작업속도를 향샹시키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값을 조작해줘야

한다.

1.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에서 오른쪽에 SecondLevelDataCache항목을 고른다
2.자신의 cpu에 맞는 10진수 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MD Duron → 64입력
CeleronA/celeron2 → 128입력
PII mobile/PIII E(EB)(칩형태 256K L2캐쉬내장 펜3 코퍼마인)/P4/AMD K6-3/AMD THUNDERBird/Cyrix

III → 256입력
AMD K6-2/PII/PIII katmai(초기 카트리지형식 펜3 카트마이)/AMD Athlon → 512입력
PII Xeon/PIII Xeon → 1024입력

3. 재시작한다.

[XP팁18] 캐쉬메모리 체적화로 속도 높이기

디스크캐시는 윈xp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렇지만, xp의 기본 입출력 페이지 파일 셋

팅은 매우 민감해서 xp의 작업속도를 제한하게 된다. 다음은 램의 크기에 따른 몇가지 값들이다.

램의 크기에 맞게 다음을 수정하시면, xp의 작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1.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여 새로만들기->DWORD값을 선택한다. 새값
에 IoPageLockLimit 라고입력한다(대소문자 주의). IoPageLockLimit를 더블클
릭하여 아래 보기의 값을 입력한다.
2. 자신의 램 사이즈에 맞는 16진수(hex)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64M: 1000;
128M: 4000;
256M: 10000;
384M: 22000;
512M or more: 40000.
3. 재시작한다.

[XP팁19] 내컴퓨터의 [공유문서] 제거방법

컴퓨터에 보면 여러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문서가 있다.
공유문서에는 공유그림 공유음악등이 있는데 필요하지 않는 경우 삭제할 수 있다.
1.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MyComputerNameSpaceDelegateFolders
2.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 를 찾아서 삭제한다.
(완전히 없어진건 아니고 보이지만 않을뿐이다)

[XP팁20] Windows Messenger 삭제하는 방법

Windows Messenger 이외의 다른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옵션을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약간의 inf파일

수정을 통해서 삭제할 수 있다.
1.windows/inf/sysoc.inf 폴더를 메모장으로 연다.
2.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hide,7-->이 라인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7-->hide,만 제거한후
저장한다.
3.위와 같이 변경하고 시작->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windows 구성요소
추가/제거에 Windows Messenger체크 옵션이 나타난다. 여기에 체크를 아웃하
면 삭제된다.
추가적으로 msn익스플러도 삭제할 수 있다.
[XP팁21]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윈도우 XP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정지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응답이 기다리는 시간이 설정되어 응

답이 없으면 해당프로그램을 정지시킨다 이 타임아웃시간을 조절해서 윈도우 XP 정지시간을 줄일

수 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HungAppTimeout
다음 값이 기본적으로 5000(5초)으로 설정되어있을 것이다.
이 값을 더블 클릭해서 1000 (1000 = 1초)로 설정해준다.

[XP팁22]시스템종료 로그오프창 고전적인 형태로 변경하기

시작->제어판->사용자 계정->사용자 로그온 또는 로그오프 방법변경을 클릭한다.
여기서 시작 화면 사용을 체크아웃하고 옵션적용을 크릭하면 고전적인 시스템종료창이 나타난다.

[XP팁23] 윈도우 시작시 자동로그온방법

regedit-->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항목에서

오른쪽마우스 클릭하여 새문자열값으로 다음값을 등록한다
이름 값
AutoAdminLogon --> 1
DefaultUserName --> 유저명(사용하시는 유저명) : 이 항목은 보통 만들어져 있다
DefaultPassword -->패스워드(유저의 패스워드) : 지정없이 사용할때는 값을 공란으로 둔다

[XP팁24] msconfig에서 필요없는 서비스항목 해지하여 부팅속도 올리기

(그만큼 윈도우시작시 불필요한 인식을 안해서 좋음....)
Automatic Updates
자동업데이트 기능. 해제하시면 수동으로만 업데이트 됩니다.
Help and Support
도움말 및 지원센터... 윈도우 도움말이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면 해제.
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
인터넷외의 인트라넷, 원격제어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Performance Logs and Alerts
원격제어시 원격 컴퓨터의 정보등을 수집하는 서비스... 원격제어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Portable Media Serial Number
컴퓨터에 연결된 휴대용 음악장치의 시리얼넘버검색(-_-;)무슨말인지 필자도 이해 안되지만...
아무짝에 쓸모없어 보임...
Secondary Logon
다른 계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단독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해제.
Smart Card Helper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스마트 카드를 지원하도록 설정.
레거시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당근 해제.
System Restore Service
시스템 복원 서비스... 시스템 복원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Telnet
원격사용자가 이 컴퓨터에 로그온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UNIX 및 Windows 기반
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TCP/IP 텔넷 클라이언트를 지원. 말그대로... 이런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

려면 해제.
[XP팁25] 바탕화면 단축아이콘에서 화살표 없애기

regedit
HKEY_CLASSES_ROOTlnkfile 선택
오른쪽 창의-->isshortcut 선택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isshortcut항목 삭제

[XP팁26] 바탕화면 아이콘 폰트 투명하게 하기

바탕화면의 아이콘 글씨 박스가 배경화면을 가리게 될때 투명하게 하는 방법
*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시각효과,프로세서일정,메모리사용및가상메모리)설정 -> 시각효과
에서 "바탕화면의 아아콘 레이블에 그림자사용"항목을 체크 표시함

[XP팁27] 저사양 컴터에서 XP 잘 돌아가게 하는방법

XP를 저사양 컴터에서 벅벅대지 않고 잘돌아가게 하려면 다음을 설정한다
1.제목표시줄 오른쪽마우스 클릭 -> 속성 -> 시작메뉴 -> 이전시작메뉴 : 윈도
우 예전 메뉴로 설정됨
2.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시각효과,프로세서일정,메모리사용및가상메모
리)설정 -> 시각효과에서 사용자지정으로 한 후 모든 콤보박스 체크해제(단,"
바탕화면의 아아콘 레이블에 그림자사용"항목만 설정하여 방탕화면 아이콘을
투명화 조치한다.
(참고)일반 컴에서도 화려한 XP창이 필요치 않을시 이 방식 적용하면 속도 향
상효과를 보게 됨


[XP팁28] 프로그램 오류 시 시스템재부팅 방지

간단한 오류에도 XP가 저절로 부팅되어 버리는 난감함을 볼수 있는데 방지하는 방법이다.
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시작및복구 -> 설정 에서 "시스템오류"항목의 "자동으로 다시시작"을

체크해제하면 됨

[XP팁29] 부팅후 NumberLock설정방법

부팅후 넘버록이 설정되질 않는 경우 Regedit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Keyboard에서 InitialKeyboardIndicators항목의 키값을 2로 고침

[XP팁30] MSN Explorer제거방법

1. [시작]-[모든 프로그램(P)]를 선택하고 MSN Explorer 아이콘 위에 커서를 갖
다 댄다.
2.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R)]을 선택
3. "MSN Explorer 등록정보" 창이 뜨면 아랫부분에 있는 [대상 찾기(F)]를 선택
4. 지금까지의 과정을 밟아 왔다면 MSN Explorer의 폴더로 이동을 해 있을 겁
니당. 거기에 폴더가 두 개가 있는데, Setup이란 폴더를 열어 보면 msnunin이
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게 MSN Explorer의 "제거 프로그램"입니다. 클릭하
면 시작 메뉴에 있는 "바로 가기"를 비롯해서 모든 게 제거됩니다.

[XP팁31] 빠른 웹서핑을 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최적셋팅법

도구 - 인터넷 옵션 - 고급에서 다음과 같이 해 보세요.
탐색에서 "예약시 동기화할 오프라인 항목 표시" 해제 (선택하지않음)
특정파일이(이름이 한글로 된 파일) 안열린경우 " URL을 항상 UTF-8로 보냄" 해제 (선택하지않음)
탐색에서 "프록시 연결을 통해 HTTP 1.1 사용" 해제 (선택하지않음)
연결항목 랜설정항목에서... 자동구성과 프록시 서버를 모두 해제 (선택하지않음)

[XP팁32] 시작메뉴의 로그오프 없애기

시작->실행->gpedit.msc->관리 템플릿->작업표시줄 및 시작메뉴->우측창에서 "시작메뉴에 있는 로

그오프 사용안함"에서 우측클릭->속성->"사용"에 첵크->리부팅

[XP팁33] 회사이름과 사용자 이름 바꾸기

[시작]-[실행]-[regedit 입력]-[엔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해서 들어가 보면
RegisteredOrganization과 RegisteredOwner라는 값이 있을겁니다.
이 값의 RegisteredOrganization은 회사 이름이고 RegisteredOwner는 사용자 이름입니다. 이 두 값

의 데이터를 수정해 준 후, 로그오프나 시스템 다시 시작을 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 됩니다.

[XP팁34] 인터넷 익스플로러 로고 바꾸기

간단한 방법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로고를 바꿀 수 있다.
먼저 로고로 쓸 이미지를 준비한다(이때 그림 파일은 22×22픽셀의 bmp 형식이어야 한다).
`실행` 창에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수행한
다음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
[Internet Explorer]→[Toolbar]로 이동한다.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새로 만들기]→[문자열 값] 메뉴를 고른다. 새로운 문자열의 이름을

`SmBrandBitmap`로 바꾸고 `값 데이터`란에 앞에서 준비한 그림 파일의 경로와 이름을 적어준다
(여기서는 c:main.bmp). [F5] 키를 누르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수행하면 화면 오른쪽 위의 로고

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P팁35] 시스템 등록 정보에 로고 추가하기

(XP의 경우 관련파일이 없을시 메모장으로 만들어서 입력해주면 됨)
제어판의 [시스템] 애플릿을 실행하여 "일반"탭을 보면 시스템 사용자 정보가 나오고 아래쪽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그런데, 특정 회사에서 생산한 PC의 경우 제조 및 기술 지원 업체라는 항목이

있으며 이곳에 제작사 로고와 각종 정보가 들어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각자 자신의 로고

와 등록정보를 입력해 보자.
1. 우선 로고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픽 편집 도구를 사용하여 200x120픽
셀의 BMP파일을 하나 만들어야 한다. 파일의 색상은 아무래도 상관없다. 이
파일을 C:WINNTsystem32 폴더에 oemlogo.bmp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2. C:WINNTsystem32폴더에서 oeminfo.ini 파일을 찾아서(또는 생성) 텍스트
편집기로 부른후 다음과 같이 정보를 입력한뒤 저장한다.
[general]
Manufacturer=예)JAVA World
Model=예)MS Windows 2000
[Support Information]
Line1= .... 내용들 ...
Line2= .........
Line3= .
Line4=
Line5=
Line6=
Line7=
Line8=
Line9=
Line10=

[XP팁36] 로그온 때 메시지 띄우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를 켜면 맨 처음 로그온 화면이 뜬다. 이때 깜찍한 메시지를 넣어준다면 하루

의 시작이 조금은 상쾌해지지 않을까?
① [시작] 메뉴에서 [수행]을 선택한다.
② [수행] 대화 상자가 표시되면 `regedit`라고 적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③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화면에 표시되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Winlogon`으로 이동한다.
④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새로 만들기] 메뉴에
서 [문자열 값]을 선택한다.
⑤ 문자열의 이름을 `LegalNoticeText`라고 써 넣고 [Enter] 키를 누른다.
⑥ 앞에서 만들어 놓은 문자열을 마우스로 두 번 누르면 [문자열 편집] 대화 상
자가 나타난다.
[값 데이터] 입력상자에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써 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
다.
⑦ 같은 방법으로 `LegalNoticeCaption`이라는 문자열 값을 만들고 [값 데이터]
에 메시지 상자의 제목을 적는다. [확인] 버튼을 누른다. ⑧ PC를 껐다 켜면
설정한 내용에 따른 메시지 상자가 표시된다.


[XP팁37] DirectX 버전 확인방법

시작 - 실행에서 dxdiag 라고 쳐넣코 엔터 ..
(dxdiag : DirectX 진단도구 실행 명령어)

[XP팁38] 자신의 윈도 엑피가 정품 인증 확인방법

시작 -> 실행->oobe/msoobe /a (슬래시 a 앞에 한칸을 띄우는것을 주의..)

[XP팁39] 그룹정책(GPEdit)실행으로 시스템 설정하기

시작 -> 실행 -> gpedit.msc
윈도우의 여러 세세한 부분을 직접 수정해줄수 있다.
추가하고 제거하는 식의 불안한 regedit와는 달리 gpedit.msc는 기능을 켜고
끄는 식이라 안전하기도 하고 정말 많은 부분에 손을 댈수 있다.
단적인 예로,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프로그램변경/제거 항목을 숨길수도
있다.각 항목 클릭시마다 설명도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

[XP팁40] 익스플로러 시작시 풀스크린으로 항상 시작

1.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2. Main 항목 오른쪽 창에서 FullScreen 항목을 찾으세요.
3. 이젠 FullScreen 를 더블 클릭해서 no를 yes 바꿉니다.
4. 레지스트리 프로그램을 종료 후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XP팁41] DMA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조건

하드디스크와 시디드라이브를 DMA 모드로 설정하는건 기본이다.
E-IDE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에는 PIO 모드와 멀티워드
DMA(Direct Memory Access)라는 두가지 전송방식이 있다.
기존의 PIO모드에서는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CPU를 거쳐 드라이브로
전송되지만 DMA모드에서는 데이터가 DMA 채널을 통해 CPU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드라이브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높아지며 CPU
점유율 또한 현저히 낮아진다. 입출력을 위한 인터럽트의 횟수가
줄어 들어 멀티태스킹과 고속작업이 유리하다.

DMA 모드를 이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Ultra DMA 포함)

1.메인보드 지원여부 (칩셋과 바이오스에 따라 최대 지원여부가 달라짐)
2.운영체제 지원여부 (드라이버를 통해 업데이트 가능)
3.드라이브(저장매체) 지원여부 (하드웨어 자체 최대지원여부는 제품에 따라 다
름)

메인보드 바이오스 상에서 DMA 설정을 확인한후 사용하는 메인보드 칩셋에 따라 운영체제용 드라이

버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인텔사의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
보드는 Intel Application Accelerator 프로그램을, VIA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
보드는 VIA 4-in-1을 사용하셔야 한다.

[XP팁42] 방화벽설정/제거방법

▶윈도우 XP는 인터넷 연결방화벽 설정 부분이 있어서 다른 컴퓨터가
내 컴퓨터를 엑세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나누미나
P2P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컴퓨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럴경우 방화벽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바탕화면의 네트워크환경의 등록정보를 연다-자신의 네트워큰연결항목을 선택하고 마우스우측버

튼을 클릭해서 등록정보를 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고급-인테넷 연결방화벽을 체크하던지 체크아웃한다.

[XP팁43] 종료로고만 나오고 전원안꺼질때

(조치1)
▶제어판(control panel)-전원 옵션(power options)-APM탭-하단의
[Enable Power Management support](최대 절전모드사용)를 체크합니다.APM지원을 체크한다.

(조치2)
CMOS에서 전원관리 부분에 가서 "PM Control by AP" 여기를 YES라고 변경한다.

(조치3)
[시작-제어판-새 하드웨어 추가]를 클릭한다.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 ---> [다음]을 눌러 윈도우 XP가 새로 설치된
장치를 찾으면 [하드웨어가 연결되어 있습니까?]하고 물어 보는데
[예, 하드웨어를 연결했습니다] 라는 단추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설치된 하드웨어] ---> [새 하드웨어 장치 추가] 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십시오]라고 나오면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 설치(고급)]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
[일반 하드웨어 종류]에서 [ NT APM/레거시 지원 ] 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고,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계속 따라 하시면 무사히 설치 된다.


[XP팁44]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목록지우기

프로그램 추가 에서 지우지 않고 그냥 프로그램의 언인스톨러를 제거했을때
프로그램추가 에서 목록이 그대로 남아있을 때가 있다. 그럴때는 지우지도 못하고 어쩔때는 설치가

잘 안될수도 있다. 지금부터 목록 지우는법을 알아보도록하곘다.
시작-실행-regedit 입력후 [확인]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에서 프로그램 추가에

있는 목록이 보일것이다. 그중에서 제거할 목록을 선택하고 삭제 하면 된다.

[XP팁45] 휴지통이름 변경방법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의 오른쪽 창에 있

는 attribute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 뒤 `수정`클릭.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이 열리면

`값의 데이터` 칸에서
40 01 00 20 대신 70 01 00 20을 집어넣는다.
[WindowsMe는 여기까지]

3.XP는 추가적으로 "CallForAttributes"=dword:00000040 값을 삭제해주어야 한다.

4.위 작업을 하고 로그오프나 재부팅하고 휴지통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이

름바꾸기]명령이 추가된 것을 볼수있다.여기서 이름을 마음대로 바꾸면 된다.


[XP팁46] 파일시스템 FAT32/NTFS의 장단점

WindowsXP에서는 NT커널과 기존Windows시리즈(95,98,me)에서 사용하던
FAT32방식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는것이 나을까 궁금할 것이다. 이 2가지

방식을 간단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NTFS(New Technology, NT File System)
이것은 윈도우 NT3.1/3.5/3.51/4.0/2000/XP에서 지원하는것으로 한결같이 똑같은 것은 아니고 조금

씩 수정되어왔다. NTFS의 클러스터 크기는 512바이트, 1킬로,2킬로, 4킬로바이트까지 사용자 지정

이 가능하다. 파일크기및 볼륨은 이론상으로 최대 16EB(ExaByte=10의 18승바이트)이나 실질적으로

는 2테라바이트가 한계입니다.
이 파일시스템은 안정성, 자세한 사용자 제한, 보안성등이 FAT32보다는 나은것이다.

NTFS와 FAT16/32 파일시스템의 속도는 불륨이 상당히 크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FAT가 빠르다. 그 이

유는 먼저 FAT구조가 단순하고 같은 파일이 들어있는경우 폴더크기 자체도 NTFS보다 작다. 그리고

FAT는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등을 살필 필요도 없고 NTFS는 이 불륨이 FAT인지 아닌지도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NTFS가 게임이나 일부 프로그램에서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고 하니 꼭 호환성을 중시하는 프

로그램이 있다면 FAT32로 그 파티션은 유지하는것이 좋다.

(결론)NTFS방식은 FAT32방식에 비해 안정성,보안성,디스크단편화등이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프로그

램 액세스 속도면에선 FAT32방식보다 느리다.
데스크탑등 서버용이 아닌 일반사용면에선 FAT32방식이 유리함을 알수있다.

FAT32에서 NTFS로의 변환은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한채 변환가능하지만 NTFS에서 FAT32로의 변환은

반드시 포맷하여야 함으로 변환을 결정할시 주의를 요한다.

일부 질문난에 보니 NTFS에서 FAT32로 포맷이 잘안된다고 하는데 FDISK실행후 비도스영역 파티션을

삭제한후 파티션 설정을 하면 가능하다.

[XP팁47]비디오카드 지원 모든 해상도 보는방법과 사용법

제어판-디스플레이등록정보-설정-고급-어댑터를 선택하고[ 모든 모드 표시를 클릭]하며 해당 비디

오카드 어댑터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색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XP팁48]실행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장치관리자등이나 서비스를 통제하는데 특히 편리하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로컬 컴퓨터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perfmon.msc : 성능모니터뷰 rsop.msc : 정책의 결과와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XP팁49]Shift키의 10가지 기능

1.윈도우즈 시작을 빠르게
윈도우즈가 시작될 때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시작 메뉴에 등록했던 여러 가지 응용프로그램들은

전혀 실행되지 않고 윈도우즈만 바로 시작합니다. 시작 메뉴에 프로그램을 많이 등록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급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2. 휴지통 거치지 않고 곧바로 파일 삭제하기
키를 누른 채로 <삭제> 키를 눌러 파일을 지우면 파일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져 버립니다.

3. 창 한꺼번에 닫기
여러 폴더를 열어 놓았다면 키를 누른 상태로 현재 폴더를 닫으면 지금까지 열어 놓은 상위 폴더까

지 한꺼번에 닫힙니다.

4. 파일을 이동시키자
키를 누른 채로 파일을 잡아 끌면 해당 파일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5. 연속된 파일 선택을 쉽고 빠르게

6. 탐색기를 어디서든 불러낸다
키를 누른 채로 `내 컴퓨터`를 선택하면 탐색기가 곧바로 실행됩니다. 뿐만 아니라 폴더 에서도 키

를 누른 채로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폴더를 기준으로 하는 탐색기가 실행됩니다.

7. 연결 프로그램 변경하기
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면 단축 메뉴에 `연결 프로그램` 이라는

항목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다시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런 현식의 파일을 열 때 항

상 이 프로그램을 사용` 을 선택해 주면 연결 프로그램이 바뀝니다.

8. 음악 CD 자동 실행 중지
음악 CD 를 넣으면서 키를 누르고 있으면 자동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데이커 CD 에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9. 시스템 재시작을 빠르게
키를 누른채 재시작 메뉴의 `예(Y)`를 선택하면 윈도우즈가 빠르게 재시작됩니다.

10. 단축 메뉴 불러내기
바탕화면의 단축 아이콘 또는 폴더를 선택한뒤 키를 누른 채로 을 누르면
각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바로가기 메뉴가 뜹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하면 바로가기 메뉴를

쉽게 불러낼 수 있지만 키보드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도중이거나 마우스에 이상이 생긴 경우 유용합

니다

[XP팁50] 베드섹터 검사및 베드섹터 복구하는 방법

내컴퓨터-검사를 원하는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속성-도구로이동-

디스크검사 옵션 항목에서 [불량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를 체크하고 시작을 클릭해주시면됩니다

[XP팁51] 부팅후 및 탐색기실행시 A드라이브 안 읽게 하기

부팅직후나 탐색기를 실행할때 이상하게 A드라이브를 이유없이 읽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갑자기 이런증상이 나타날때는 이렇게 해보면 된다.
제어판->관리도구->서비스->shell hardware detection항목을 찿아 자동으로 설정->재부팅


[XP팁52] 하드가 이유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때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표시등이 계속 켜지면서 하드가 작동을 한다면 다음

설정을 해제한다.
제어판->관리도구->서비스->Indexing Service->속성->사용안함

[XP팁53] BootVis 를 이용한 부팅 최적화

BootVis는 MS에서 제공하는 부팅최적화프로그램이다. 자료실에서 다운로드하여 BootVis.exe를 실행

한다.

1. Trace - Next Boot + Driver Delays를 선택합니다.
2. OK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이루어 집니다. (재부팅후 기다리시면 BootVis 가 자동으

로 실행됨)
그래프를 통해 부팅소요시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그냥 참고 하시면 됩니다.
3. 이번엔 최적화를 위해서 Optimize System을 선택합니다. 지시에 따라 하시고 재부팅후 BootVis

최적화를 마칠 때 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시스템에 따라서 반응 및 작업시간이 길어 질 수 있습

니다.

[XP팁54] Fdisk 올가이드

Fdisk를 이용한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게 되는 과정은 대개 다음과 같다.
공장 출하(Low Lebel Format) → 시스템화(FDISK) → 활성화(Format) → 운영체제 설치..
하드 디스크 초기 출하시에는 Low lebel Format 을 한 상태와 마찬가지의 상태로 있게되고, 이걸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시스템 설계를 해줘야 하는데 이 때 이용하는 방법이 바로 Dos 의 FDISK

명령이다.
요즘은 대개 소매상에서 미리 셋팅과 포맷을 해서 소비자에게 주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용량

의 하드디스크라면 이걸 다시 두세개 정도의 파티션으로 나눠서 사용하면 유용한 점이 많다. 파티

션을 나눌 경우 하드의 공간 낭비가 생기기는 하지만, 낭비되는것 보다도 더 큰 효용이 있기 때문

에 파티션을 나누게 된다.
그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방법이 바로 Dos 의 FDISK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간단히 FDISK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의: FDISK를 할때에는 미리 하드디스크에 있는 모든 자료를 반드시 백업해 두어야 한다)
Ⅰ. FDISK 실행
- 먼저 부팅 디스켓을 (A:)드라이브에 넣고 컴퓨터를 켭니다.
- A:> 가 나오면 fdisk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그러면 영어로 고용량 하드 디스크를 쓰고 있다

면 당신의
하드를 FAT32구조로 만들 겠습니까< Y/N>?를 물어보는데 여기서 무조건 "Y"를 누릅니다.
- Yes 를 누르면 Choose one of the following: 이라는 말 다음에 fdisk 기본 메뉴가 나옵니다.

[기본 메뉴]
1. Create DOS Partition or Logical DOS Drive
2. Set Active Partition
3. Delete partition or logical dos dirve
4. Display partition information
5. Change current fixed disk drive


[한글화 메뉴]
1. 분할 영역 또는 논리dos 드라이브 지정
2. 실행 영역 지정
3. 분할 영역 또는 논리 DOS 드라이브 삭제
4. 분할 영역 정보 표시
5. 현재 하드 디스크 바꾸기 (- 하드가 2개 이상일때 표시됨)

Ⅱ. 파티션 지우기

- 하드를 새로 구입하신 분은 아래의 "파티션 만들기"를 보시고...
이미 하드를 쓰시고 계셨던 분은 3번 메뉴를 선택해서 기존에 있던 파티션을 지우셔야 합니다.
3번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4 개의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③ - 하위 메뉴]
1) Delete Primary DOS Partition
2) Delete Extended DOS Partition
3) Dele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4) Delete Non-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삭제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삭제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서 논리 도스 드라이브 삭제
4) 비 도스 분할 영역 삭제

(설명)
1)은 기본 영역을 지우는 메뉴로, 기존의 하드를 분할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기 전까지는 지워

지지 않습니다. 만약 그 전에 분할 하지 않고 하드를 하나로 썼다면 여기서 기본 영역을 지우세요.
2)은 처음에 하드를 2부분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는 곳입니다. 여기서 확

장영역을 지우고 나머지 기본 영역은 1)에서 지우시기 바랍니다.
3)은 하드를 2부분 이상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논리드라이브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만약 하드를 3부분으로 나누어서 썼다면 논리드라이브를 여기서 지우시고 다음 확장드라이브는 2)

에서 다음 기본 영역은 1) 순으로 지우시기 바랍니다.
4)은 도스외에 다른 운영체제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예: NTFS..)

Ⅲ. 파티션 만들기

기존의 하드 영역을 모두 지웠으니까 새로 다시 영역을 정해줘야합니다. 다시 처음 fdisk 기본메뉴

로 돌아가서("ESC" 키를 누르면 돌아간다.) 1번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3개의 하

위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① - 하위 메뉴]
1) Create Primary DOS Partition
2) Create Extended DOS Partition
3) Crea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 지정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 지정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 논리 도스드라이브 지정


(설명)
1)은 기본영역을 지정해주는 곳으로 나중에 C 드라이브가 됩니다.
2)은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3)은 하드를 3이상으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A. 하드디스크가 하나 일때

a.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기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하고 싶으시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fdisk기본 메뉴에서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1번을 선택하고 , 그러면 위와 같이 세 개의 하위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다시 1번을 선택을 하면 파티션을 하나로 쓸것이냐 아니냐 하는 [Y/N]의 선택 항목이 나오게 되는

데 이때에 "Y"를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이렇게 "Y"를 선택을 하게 되면 다시 부팅을 한다는 메시지

가 나오게 되는데 부팅 후 Format을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b. 파티션을 두개나 세개 이상으로 만들기
30GB의 하드디스크를 우리는 5GB, 5GB,20GB이렇게 3 개로 분할할 경우..
먼저 파티션을 하나로 나눌 때처럼 일단은 [Y/N]가 나오는 항목까지 가서
이번에는 "Y"가 아니라 "N"를 치면 커서가 밑으로 가면서 30000 라는 숫자와 함께 깜박거리게 됩니

다.
이때에 5000 이라고 치고 엔터를 치면 기본 메뉴화면으로 돌아 가게 되는데 다시 1번을 누른 다음

에 이번에는 2 번을 누르고 들어가면 남아 있는 용량인25000 이라는 숫자와 함께 커서가 깜박 거리

게 됩니다. 이 숫자가 나오면 그냥 엔터를 치게 되면 어떤 메시지와 함께 다시 25000 이라는 숫자

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만일 하드디스크를 두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그냥 엔터를 치면 되고 그렇지 않고 3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다시 5000 이라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다시 20000 (30000 - 5000+5000 )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를 더 분할을 하고 싶다면 다시 20000 보다 적은 숫자를 넣어 주면 되고 끝내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면 됩니다.

B. 하드디스크가 두 개(여러 개)일 때

하드디스크가 2개나 여러 개일 때도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같습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자신이

파티션을 나누고자 하는 하드디스크를 정확하게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메뉴의 5번 메뉴

이용) 그리고, 덧붙여서 설치하는 하드 디스크를 파티션 나눌때 용도를 생각해서 기본 도스영역을

만들것인지 아니면 모두 확장 도스영역으로 만들것인지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자료 백업용으로만

쓸거라면 모두 확장 도스 영역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나중 운영체제도 설치할 계획인 경우에는 기

본 도스 영역을 지정한 후 확장 도스 영역을 만드셔야 다시 파티션 나누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잇

습니다.
그 후에는 하드디스크 하나일 때와 방법은 동일합니다.

Ⅳ. 드라이브 활성화 (Format)

* 파티션 나누는 작업이 다 끝났으면..나눈 파티션을 활성화시켜 줘야 합니다.
- fdisk 기본메뉴로 돌아 오셔서 2) - Set Active Patition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 메뉴는 부팅 영역을 활성화 해주는 곳으로 항상 C 드라이브만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곳을 선택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이런걸 흔히 "텃세 부린다"고 하죠^^)
- "dos 실행 영역으로 지정하려는 분할 영역의 번호를 입력하시오 ---[ ]" 에 "1" 을 입력하고 엔

터..

- 이제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만약 하드가 분할된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fdisk 기본 메뉴에서 4) 를 선택합니다. 다 보셨으면

Esc 키를 눌러 fdisk를 빠져 나갑니다.
- 그런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A드라이브에 부팅디스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 A:> 화면이 나오면 가장 끝 부분 드라이브부터 Format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를 C, D, E로 나누었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세요.
A:>format e:
A:>format d:
A:>format c:
라고 치고 Enter를 치세요.

2010년 1월 31일 일요일

실손보험 회사별 보험료 차이 2∼3배

실손보험 회사별 보험료 차이 23배 [연합]. 기사; 나도 한마디 (). 2010.01.17 06: 09 입력. 실손의료보험 보험료 차이가 회사별로 최고 23배에 이르기 때문에 가입 ...


실손의료보험 보험료 차이가 회사별로 최고 2∼3배에 이르기 때문에 가입하기 전에 꼼꼼히 비교해야 한다.

17일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40세 여성이 실손보험 종합입원.종합통원 특약에 가입할 경우 최저 보험료는 흥국화재의 8천137 원, 최고 보험료는 삼성생명의 2만950 원으로 3배 가량 차이가 난다.

실손보험은 지난해 10월부터 표준화되면서 생보와 손보가 같은 상품을 팔고 있으며, 실손보험 종합입원과 종합통원 특약은 질병과 상해에 의한 입원과 통합을 모두 보장하는 것이다.

양 협회 홈페이지에 공시된 각 사의 보험료를 분석해본 결과 40세 남성의 경우도 최저가인 흥국화재(7천647 원)에 비해 최고가인 녹십자생명의 보험료(1만7천130 원)가 2배 이상 비쌌다.

40세 여성에 대한 손보사의 평균 보험료는 1만2천114 원으로 생보사 평균 (1만6천875원)에 비해 저렴했다. 이는 40세 남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손보사 평균이 9천364 원이고 생보사 평균이 1만5천79 원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40세의 경우 여성의 평균 보험료가 남성에 비해 손보는 29%, 생보는 12% 가량 비쌌다.

연령별로는 35세 여성의 평균 보험료가 손보 1만10원, 생보 1만2천292원으로 40세 여성에 비해 각각 17%, 27% 저렴했다. 남성의 경우에도 35세는 손보가 평균 8천400 원, 생보가 평균 1만1천519원으로 40세가 되면서 각각 11%, 31% 비싸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세 여성의 보험료는 손보사 중에서는 흥국화재에 이어 롯데손보(9천581 원)가 낮았고 그린손보, AXA손보, 한화손보는 1만 원대, 현대해상은 1만1천440원이었으며 삼성화재(2만840원)는 2만 원이 넘었다.

생보사 가운데 최저가는 동부생명의 1만4천890원이고 이어 PCA생명과 알리안츠생명, 금호생명, 흥국생명, 신한생명 등이 1만5천원대였다.

40세 남성은 손보사에서는 흥국화재에 이어 롯데손보(8천164원), 그린손보(8천994원)가 8천원대, 메리츠화재와 AXA손보, LIG손보, 한화손보가 9천원대였으며 삼성화재는 1만4천590원이었다.

생보사에서는 동부생명이 1만3천900원으로 가장 낮았고 PCA생명과 알리안츠생명, 교보생명 등이 1만4천원대였으며 대한생명과 삼성생명은 1만6천원대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이는 특약 보험료만 따진 것이므로 사망 보험금 등을 보장하는 주계약을 어떻게 가입하냐에 따라 전체 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월 1만원으로 10가지 이상의 다양하고 큰 혜택을...

2010년 1월 22일 ... 월 1만원으로 10가지 이상의 다양하고 큰 혜택을. ... 보험료로 10가지 이상의 다양 하고 큰 혜택을 보장하고 있어 운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


월 1만원으로 80세까지 중상해 사고 형사합의금도 보장!
LIG (무) G라이프 [천만만족] 운전자 보험

올해 2월 헌법재판소 위헌판결에 따라, 종합보험에 가입했더라도 교통사고로 중상해를 입히면 형사처벌을 받게 되어, 최근 형사합의금까지 지원되는 운전자보험이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LIG (무) G라이프 [천만만족] 운전자 보험은 월 1만원 정도의 보험료로 10가지 이상의 다양하고 큰 혜택을 보장하고 있어 운전자들의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 보험은 자동차 종합보험에 가입돼 있어도, 8대 중과실(음주, 무면허제외)이 아니어도 피해자가 중상해를 입었다면, 「형사합의금」 1인당 3천만원(1회당)까지 보장해 준다.
(형사합의금은 3천만원 한도 내에서 실손보상/ 다수계약시 비례보상/ 42일~69일 진단시 1천만원, 70일~139일 진단시 2천만원, 140일 이상 진단시 3천만원)
(※‘중상해’라 함은 검찰에 의해 공소 제기되거나 자배법 시행령 3조에서 정한 상해급수 1,2,3급에 해당하는 부상을 입힌 경우를 말함)

기소될 경우 약식기소, 정식기소 상관없이 「변호사 선임비용」 5백만원(1회당)을 보장하고, 「벌금」도 법정최고한도인 2천만원까지 보장한다.

또한, 버스, 택시, 기차 비행기 등 「대중교통 이용 중 사고로 인한 80%이상 후유장해」시 총 4억 (일반상해보상금 1천만원+연 3900만원씩 10년간 고도장해연금 지급)을 보장하고, 사고로 「면허정지 및 취소 시 위로금」으로 2백만원을 지급하며, 견인차 등 「긴급비용」, 「자동차 보험료 할증 시 지원금」도 보장한다.

그리고, 자동차 사고로 생긴 흉터를 「성형수술」하는데도 백만원을 보장하고, 「일상생활 중 실수로 남의 물건을 망가뜨리거나, 손해」를 입혔을 경우에도 1억원(대물 20만원 공제)까지 보장한다.

게다가, 「주차장이나 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차 중에 사고가 날 경우에도 위로금」을 지급하고, 외제차와 부딪혔을 경우 「외제차 대물손해 위로금」까지 추가로 지급한다.

이런 다양하고 큰 보장에도 불구하고 보험료는 30세도 40세도 50세도 남녀 구분없이 월 1만원(상해 1급기준)이고, 연인, 부부, 부녀, 모자 등 남녀커플이 동시에 가입할 경우 월 2만원이 아닌 월19,000원으로 가입 가능하다.

또한 저렴한 보험료에도 불구하고 보장기간은 80세까지로 아주 길게 보장해주기 때문에 한번 가입으로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어서 더욱 인기를 모으고 있다.

무료상담 : 080-980-7979
손해보험 광고심의위원회 심의필 제2009-642호(2009.10.26)

부산사격장 사건 후 보험가입는다

부산사격장 사건 후 보험가입 는다

부산사격장 사건 후 보험가입 는다 # 서울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는 김성식 씨. 그는 지난달 26일 대물배상 2억원, 대인배상 1억원의 화재보험에 가입했다. ...


화재보험 가입 50%증가 … 가정 문의도 줄이어

# 서울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는 김성식 씨. 그는 지난달 26일 대물배상 2억원, 대인배상 1억원의 화재보험에 가입했다. 한 달에 5만원 넘는 보험료를 내야 해 다소 부담이지만 걱정거리 중 하나였던 화재 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어느 정도 해소돼 마음만은 든든하다. 김씨가 화재보험에 가입한 계기는 지난달 14일 있었던 부산 사격장 화재. 관리 소홀로 화재가 발생하면 피해자들에게 업주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실에 놀라 미뤄왔던 보험에 가입했다.

김씨와 같이 부산 사격장 화재를 계기로 화재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한두 명이 아니다. 보험사마다 화재보험 가입을 문의하거나 가입하는 사람이 몰려들고 있다.

이는 보험사의 화재보험 가입 실적에서 확인된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사격장 화재 다음주인 지난달 16일부터 30일까지 2주간 삼성, 동부, LIG 등 주요 8개 손해보험사의 하루 평균 화재보험 가입 건수는 1176.8건으로 화재 전 올해 평균 가입 건수 791.8건보다 48.6% 증가했다.

보험사별로 삼성화재는 200건에서 313.5건으로, 동부화재는 142.7건에서 255.5건으로, LIG손해보험은 143.9건에서 205.3건으로, 메리츠화재는 87.6건에서 159.75건으로 늘었다. 이외에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그린손해보험 등 중소형 보험사들의 가입 건수도 크게 늘었다.

보험업계는 이 같은 증가세에 대해 화재가 많은 계절적 요인과 함께 부산 사격장 화재에 따른 경각심이 큰 계기가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사격장 업주가 대인 배상책임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보상 과정에 큰 문제가 생겼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화재보험에 대한 가입 문의가 크게 늘었고 실제 가입 증가로도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손보업계는 앞으로 관련 보험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에만 적용되고 있는 화재보험 의무가입 대상을 음식점, 노래방 등 모든 다중이용시설로 확대하는 법안이 상정되면서 업계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소상공인의 화재보험 가입률은 50%에 못 미치고 있어 법안이 통과되면 큰 시장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는 이와 함께 일반 가정의 화재보험 가입 제고도 기대하고 있다. 실수로 화재를 내 옆집에 피해를 줬더라도 손해를 배상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실화법이 개정되면서 화재보험에 가입하는 일반 가정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다.

이에 따라 보험업계는 올해 하반기 들어 대대적인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화재뿐 아니라 도난, 상해 등 가정생활 중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손해를 배상하는 `애니홈종합보험`을 출시한 뒤 공격적인 광고 마케팅을 벌이고 있는 삼성화재가 대표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외국 손보사들은 화재보험 등 일반보험 매출 비중이 50%를 넘지만 한국 손보사들은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이는 곧 앞으로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을 의미하는 만큼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파트 거주자들은 관리비에서 소액 보험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보고 적절한 화재보험에 가입돼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상 보상 범위가 미미한 최소한의 보험이 대부분"이라며 "이를 집중적으로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2010년 1월 30일 토요일

외국 기업들은…임금 보전보단 스톡옵션

외국 기업들은임금 보전보단 스톡옵션. 美기업은 퇴직연금 활용 ... 글로벌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퇴직자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


美기업은 퇴직연금 활용

 

◆ 대기업 퇴직임원 어떤 대우 받나 ◆

글로벌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퇴직자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이직이 활발한 미국에서는 퇴직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기업 경영에 중대한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원들에게는 대부분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퇴직 이후를 지원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퇴직자에게 일정 기간 임금을 보전하거나 재채용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구글이나 IBM 등이 퇴직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특별한 프로젝트가 생길 때마다 퇴직자들을 다시 채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보다는 퇴직연금을 활용하는 방식이 주된 퇴직자 대우 방법이다.

미국 기업들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퇴직연금 방식은 `ESOP(Employee Stock Ownership Planㆍ종업원지주제)`를 활용한 것이다. 이 제도는 회사와 직원이 함께 출연해 일종의 주식투자 전용 펀드를 조성한 다음 자사주나 기타 주식에 투자한 뒤 얻은 이익을 분배하는 제도다.

직원들은 주식을 퇴직 후에도 보유할 수 있으며 회사는 퇴직자에게 주식을 따로 부여하기도 한다. 퇴직자들은 이를 통해 투자 수익과 배당 수익을 함께 기대할 수 있다.

또 회사의 이익에 따라 직원들에게 더욱 많은 배분을 해주는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를 통해 퇴직하는 직원들이 더욱 많은 퇴직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점진적 퇴직제도를 도입해 실질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방법도 적용된다.

이는 고령자들의 업무를 파트타임 형식으로 줄이고 대신 연금 등을 활용해 임금 하락분을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국내 금융권에서 활용되는 임금피크제와는 다른 개념이다.

유럽과 미국 기업들은 임원들뿐만 아니라 일반직원 퇴직자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왔다.

제너럴모터스(GM)의 의료비 지원 프로그램은 일반직원들에게까지 지원을 해주는 대표적인 퇴직자 지원 사례다.

GM은 임원을 포함한 전ㆍ현직 근로자는 물론 가족에게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GM의 경영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정도다.

그룹별 퇴직 임원 관리 어떻게 하나

그룹별 퇴직 임원 관리 어떻게 하나 · 외국 기업들은…임금 보전보단 스톡옵션 · [매경 인터뷰] 뉴 노멀시대…기업, 정부와 악수하라 ...


롯데, 심리치료 전직도 도와…한화, 퇴직임원 친목모임 지원
◆ 대기업 퇴직임원 어떤 대우 받나 ◆

국내 기업들에도 퇴직자 대우를 강화하는 것은 중요한 관심사다.

롯데그룹은 퇴직 임원들에게 최소 1년 이상 고문(부사장 이상)이나 자문(전무 이하)의 지위를 부여한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근속연수와 기여도에 따라 현직 연봉의 40~60%를 지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퇴직 임원들의 심리적 충격을 완화하고 전직과 창업 지원을 위해 6개월 과정의 `아웃플레이스먼트`를 실시하고 있다. 롯데그룹의 아웃플레이스먼트는 사무공간을 제공하면서 각 개인에게 맞는 전직 지원, 생애설계, 창업 지원, 건강ㆍ노후관리 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GS그룹은 임원들에 대해 선별적으로 대우한다.

사장급 이상 임원은 재직중 업적이 고려돼 고문으로 위촉될 수 있다. 재직기간은 임원별로 다르지만 통상 2년 내외다. 고문 재직기간에 사무실, 비서, 차량 등이 지원된다.

부사장급 이하는 1~2년간 자문역으로 위촉된다. 그러나 그 외의 복리후생이나 사무실 제공은 없다.

포스코는 퇴직 임원을 고문 또는 자문역에 위촉하고 퇴직 전 연봉의 50~70%를 1~2년간 지급한다. 상임 고문에게는 차량, 사무실, 비서가 일정 기간 제공된다.

회사 차원에서 별도의 재취업 지원은 없지만 퇴직자 경험과 노하우를 협력업체나 계열사가 필요로 하는 때 취업하는 경우는 있다.

한화그룹은 퇴직 임원들의 모임인 한화회를 통해 강력한 결속을 유지한다. 1995년 창립된 한화회는 퇴직 임원들에 대한 친목의 장을 넘어서 `그룹의 원로`라는 자부심과 함께 자문 역할도 수행한다. 한화그룹에서 퇴직한 임원은 자동으로 한화회 멤버가 된다. 한화그룹에서는 한화회에 사무실을 내주고 각종 행사를 지원하는 등 간접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퇴직 임원 직급에 따라 1~2년가량 고문 직함을 준다. 대표이사로 퇴직할 경우 상근 고문으로 위촉되는데 사무실과 차량, 기사, 비서까지 제공된다. 한화에서 퇴직한 한 임원은 "일단 섭섭하지 않다는 표현이 정확하다"며 "특히 보람 있는 일은 한화회 멤버로 경영진에 조언을 할 때"라고 전했다.

한화갤러리아 등 몇몇 계열사는 직원들이 퇴직할 경우 창업 지원을 위한 컨설팅과 재취업 알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두산그룹은 간접적 지원보다는 보다 직접적 지원으로 퇴직 임원들을 대우한다. 일반 임원으로 퇴직할 경우 2년 동안 직전 연봉의 70%를 받는다. 부사장이나 사장, 부회장으로 퇴직할 때에는 3년 동안 연봉의 70~80%를 받게 돼 있다.

STX그룹은 기업 연륜이 짧은 탓에 퇴직 임원 지원 프로그램이 활성화돼 있지 않다. STX그룹 관계자는 "퇴직 임원 처우와 관련해서는 퇴직 임원 수가 매우 많거나 명예퇴직 등 특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련 규정이 정비되는데 아직 퇴직 임원 절대 숫자가 많지 않아 정형화된 제도가 없다"고 말했다.

대기업 퇴직임원 어떤 대우 받나

2010년 1월 29일 ... 대기업 퇴직임원 어떤 대우 받나. 사장급 최대 5년 연봉 100% 주기도 ... 삼성전자 관계자는 "퇴직 임원들이 크게 반발하지 않는 데는 재임과 퇴직 시 ...

 

사장급 최대 5년 연봉 100% 주기도
상무급은 연봉 절반수준 1~2년 지급

 

지난해 말 삼성전자에서 퇴직한 A상무는 큰 불만이 없다.

바쁘게 지내느라 못했던 취미생활도 하고 주변 친지들도 만나고 다닌다.

취직 준비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동안 바쁘게 지내서 쉬고 싶다"며 "천천히 고민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그룹 퇴직자들은 이처럼 물러나도 동요 움직임은 크지 않다.

직원들도 퇴직자들을 격려하고, 퇴직자들도 `잘렸다는 현실을` 담담하게 받아들인다. 물론 더 일할 수 있는 나이에 퇴직했을 때는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지만 임원으로 퇴직하면 `천수를 누렸다`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이런 분위기는 삼성그룹이 퇴직자들을 잘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장급은 기본적으로 3년 정도 상근직인 상담역을 맡는다. 사무실과 비서가 배정되고, 전용 차량도 현직 때와 다름없이 제공된다.

부사장 이하 임원급에게는 대개 2년 정도 비상근 자문역이 주어진다.

현직에서 받던 기본급 수준을 준다. 보너스도 설과 추석에 100%씩 제공한다.

초과이익분배금(PS)이나 생산성격려금(PI)을 받지 못하지만 연봉 개념으로 따지면 현직 때와 비교해 3분의 1 이상을 받는다고 보면 된다.

수년 전 상무로 퇴직한 B상무는 "현역시절에는 세금 등을 모두 제하고 월평균 1200만원가량을 손에 쥐었는데 지금은 400만원이 못 되는 돈을 받는다"고 말했다.

게다가 대부분 재직시절 실적에 따라 3년마다 억대 단위로 장기 성과급을 받았고, 매년 연봉 대비 최대 50%까지 초과이익분배금을 챙기는 등 특급 대우를 받아왔다. 노후자금도 두둑히 챙겨왔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퇴직 임원들이 크게 반발하지 않는 데는 재임과 퇴직 시 받는 각종 복지 혜택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꽃`이라는 대기업 임원.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임원직에 오른 만큼 이들에 대한 처우는 현직에 있을 때뿐 아니라 퇴직 후에도 관리된다.

`세대 교체`라는 명목하에 점차 퇴직 시기가 앞당겨지는 분위기도 이들에 대한 관리 필요성을 배가시키고 있다.

특히 대부분 기업 경영 관련 주요 노하우와 정보를 직접 다루는 위치에 있었던 만큼 잘 관리하지 않으면 경쟁 기업 등이 악용할 가능성도 있어 퇴직자 대우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과거 퇴직자들이 `변심`하는 바람에 중요한 기업 정보가 누출됐던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7년 김용철 변호사 사례 이후 퇴직자 관리는 기업의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떠올랐다.

여기에 퇴직 임원들이 자리를 떠난 이후에도 기업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도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주요 기업 경영 노하우와 정보에 대한 관리 차원도 있지만 기업을 위해 오랫동안 일해온 경험과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생각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다른 대기업도 마찬가지다.

SK그룹 CEO 출신 퇴직자들은 최대 5년 동안 고문으로 위촉된다.

그 기간에는 퇴임 직전에 받던 연봉을 그대로 받는다.

SK그룹 관계자는 "SK에너지 `유경회`처럼 각 회사 CEO 출신들이 참여하는 모임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며 "그룹은 그 모임별로 사무실과 비서 등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인재를 중시하는 선대 회장 경영방침이 반영돼 퇴직자 대우가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고문 위촉 기간은 부사장급 퇴직자 3년, 전무급 2년, 상무급 1년 등으로 구별된다.

현대ㆍ기아차는 전무 이상 고위 임원 퇴직 시에는 필요에 따라 자문역에 1~2년간 위촉하고, 퇴임 당시 연봉 50~70%를 지급하고 있다. 상무 이하 임원 퇴직 시에는 퇴직 당시 기본연봉과 퇴직 위로금을 일정 기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과 비서 지원은 상대적으로 박하다. 상임고문을 제외하고는 지원 대상이 아니다. 차량 구입 시 비용 30%를 지원하고 있다.

LG그룹에서는 LG전자가 퇴직 임원을 퇴직금과는 별도로 자문 고문으로 위촉한다. 특히 사장급 이상은 퇴직 시 임기 2년인 고문으로 위촉되며 보수도 일정액 주어진다. 고문에게는 또 차량과 개인 사무실도 지원된다.

LG전자는 퇴임 임원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정과 재취업을 위해 아웃 플레이스먼트(Out Placement)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 제도는 퇴직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고 새로운 인생 설계에 대한 지원으로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2002년 마련됐다.

2010년 1월 27일 수요일

퇴직금 받는 건설일용직 는다

2010년 01월 27일 11:50

일용직 근로자가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공사의 종류가 많아지고, 건설사가 하자담보 책임이나 민원처리 비용을 하도급 업체에 전가 하는 부당행위가 금지됩니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건설일용직 근로자의 퇴직공제 가입 의무대상 공사가 3억 원 이상 공공공사와 100억 원 이상의 모든 민간공사로 확대됩니다.

국토부는 새 규정에 따라 퇴직공제 가입 대상 공사가 많아지면 수혜대상 근로자가 현재 월평균 47만 명에서 2012년에는 69만 명으로 47%가량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보험] 올해 학교 들어가는데…月 1만원으로 보험하나 들어줄까

2010년 1월 24일 ... [어린이 보험]. 올해 학교 들어가는데月 1만원으로 보험하나 들어줄까. 3월 새 학기 가 곧 시작된다. 특히 입학하는 자녀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각종 ...


3월 새 학기가 곧 시작된다. 특히 입학하는 자녀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각종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부모로서 더욱 신경이 쓰인다. 이 때문에 새 학기 시작 전에 어린이보험을 가입하는 부모가 많다.

어린이보험은 자녀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가입하는 보험으로 월 1만~3만원대의 보험료로 자녀의 독립 시점인 25~30세까지 보장받을 수 있다.

어린이보험은 질병 상해 사고 학교폭력 등 일상생활과 학교생활 등에서 자녀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폭넓게 보장해준다. 자녀가 뜻하지 않게 실수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힘으로써 발생하는 손해까지도 보상한다. 요즘에는 유괴 납치 왕따 등 사회문제화하고 있는 학원폭력 및 강력범죄에 대해 보장을 제공하는 상품도 있다.

어린이보험은 금쪽 같은 자녀를 위한 보험인 만큼 조목조목 따져보고 가입해야 한다. 생명보험사 상품과 손해보험사 상품이 있는데 차이가 있다. 생보사 상품은 보험 가입시 질병 사고 등에 대해 미리 약정한 금액(정액)을 보상해주며 손보사 상품은 실제 쓴 치료비를 보상해준다.


상품 종류로 보면 순수 보장형 상품과 만기 환급형 상품이 있다. 만기 환급형을 선택하면 만기가 다가왔을 때 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보험료 부담이 커진다. 순수 보장형은 만기 때 돌려받는 돈은 없지만 보험료는 더 저렴하다. 순수 보장형 상품은 월 1만~2만원 선이며 만기 환급형은 월 3만~4만원 정도다. 전문가들은 만기 환급형이 보험료 부담이 커지는 만큼 순수 보장형을 추천한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상품별 특성도 다르다. 생보사 상품은 일반적으로 보장기간이 길고 보장금액이 정해져 있다. 백혈병 암 등 중대한 질병에 대한 보장이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고 장기 투자상품 성격을 갖는 것도 있다. 대신 손보사 상품은 보장 범위가 생보사에 비해 넓고 실제 들어간 치료비를 보상하는 실비 보상형이 주종이고 생보사 상품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보통 잔병치레가 많으면 손보사 상품이,큰 위험에 대해 폭넓은 보장을 받고 싶으면 생보사 상품이 적합하다는 게 보험사들 설명이다. 일단 가입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한 살이라도 빨리 가입하는 게 유리하다. 보험료가 조금이라도 싸기 때문이다. 보장 기간은 민영 의료보험이나 건강보험의 가입이 가능한 만 15세 이후까지 보장받을 수 있도록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 어린이보험은 보험금을 청구할 일이 잦기 때문에 보험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후관리가 미흡하다고 알려진 홈쇼핑이나 다이렉트 채널보다는 설계사 등 보상 담당자가 지속적으로 관리해주는 채널을 통해 가입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지적도 있다.

태어난 직후부터 내 아이를 보호하는 상품도 있다. 이른바 태아보험이다. 태아보험은 대다수 보험사가 어린이보험에 특약 형태로 붙여 판매하고 있다.

태아보험은 일반적으로 임신 확인 순간부터 임신 24주까지만 가입할 수 있다. 임신 중 검사를 통해 태아의 기형이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뒤 보험에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험사들은 이 같은 기간 제한을 두고 있다. 태아보험은 이름은 태아보험이지만 보장 대상은 태아가 아니라 태어난 직후의 신생아부터다. 이에 따라 태아보험에 가입했더라도 태아가 유산,사산 등으로 출생하지 못하면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고 납입한 보험료만 돌려준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2010년 1월 20일 수요일

놓치기 쉬운 연말정산 소득공제 10가지

2010년 1월 19일 ... ②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도 장애인으로 인정 : 치매, 수술 환자 ... ⑤ 중고생의 교복구입비도 교육비공제 가능 : 1인당 50만원까지 공제 ...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근로 소득자들은 저마다 환급액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중이다.

 

하지만 복잡한 세법 등으로 소득공제가 누락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이 아니더라도 치매나 암수술 환자처럼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도 장애인으로 인정돼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다.

또 소득이 있는 부양가족이더라도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지 않으면 공제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 국세청과 한국납세자연맹은 19일 각각 보도자료를 내고 놓치기 쉬운 연말정산 소득공제 유형에 대해 소개했다.

국세청은 연말정산과 관련한 궁금한 사항은 126 국세청 세미래콜센터에 전화해 상담받을 수 있고 인터넷 상담(http://call.nts.go.kr)을 활용하면 편리하다고 밝혔다.

납세자연맹(www.koreatax.org)은 "지난 2004년부터 2008년 연말정산에서 혹시 놓친 것이 있더라도 지금 환급 신청을 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국세청이 소개한 '놓치기 쉬운 소득공제 유형 10가지'
① 배우자의 직계존속 형제자매도 인적공제에 포함 : 근로자는 배우자와 직계비속(자녀,손자녀)과 함께 생계를 같이하는 직계존속(부모, 조부모)과 형제자매도 인적공제 가능, 배우자의 직계존속, 형재자매도 포함

②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도 장애인으로 인정 : 치매, 암수술 환자 항시 치료를 요하는 중증환자는 소득세법에서 정한 장애인으로 인정, 의료기관에서 증명서 발급받아 제출하면 됨

③ 소득이 있는 부양가족도 100만원이 넘지 않으면 공제 가능 : 부양가족이 근로소득자라면 총급여가 5백만원 이하이면 근로소득금액이 1백만원 이하여서 공제대상이 됨

④ 맞벌이 부부가 서로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 공제 : 단 총 급여의 3%인 공제 문턱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공제 가능

⑤ 중고생의 교복구입비도 교육비공제 가능 : 1인당 50만원까지 공제 가능, 교복판매업자로부터 교육비납입증명서 발급받거나 2009년 4월 14일 이전 구입은 영수증을 회사에 제출해야 함

⑥ 신용카드와 중복으로 공제되는 교육비와 의료비 항목 : 의료비와 취학전 아동의 학원비, 중고생 교복 구입비 등을 신용카드나 현금영수증으로 결제한 경우 각각 의료비, 교육비 공제와 함께 신용카드 공제 가능 ⑦ 안경, 보청기 등 구입비용도 의료비공제 가능 : 안경(콘택트렌즈 포함), 보청기, 장애인보장구, 의사처방에 따른 의료기기 구입비용은 의료비 공제, 2009년 말까지 지출한 미용, 성형수술 비용, 한약 포함 건강증진 의약품 비용도 의료비 공제 대상

⑧ 대출받은 전세금과 월세 보증금 상환금액의 소득공제 : 주택 전세금, 월세 보증금을 대출받은 무주택 근로자는 원금과 이자 상환금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음

⑨ 무주택자의 주택구입에 대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소득공제 : 무주택 세대주인 근로자가 국민주택규모(85㎡)의 주택(기준시가 3억원 이하)을 취득하기 위해 주택취득 후 3개월 이내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차입한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의 이자 상환금액에 대해 소득공제 가능

⑩ 중도 퇴사자는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로 추가로 소득공제 가능 :지난해 전 직장에서 퇴사 후 새 직장에 입사한 경우 전 직장에서 원천징수영수증 받아 현 직장에 제출, 두 직장의 소득을 모두 합해 연말정산을 해야 함

치매·암 … 중증환자도 장애인 공제 가능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이 아닌 , 백혈병, 중풍 등 중증환자도 세법상 ... 없이 소득공제 되며, 또한 2004~2008년 동안에 놓친 소득공제의 추가 환급도 가능합니다. ...

 

2010년 1월 19일 ... 물론 이중 공제는 안 된다. ◆치매,암 환자도 장애인 인정 치매 수술 환자 등이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환자장애인으로 인정된다. ...


http://article.joins.com/article/print.asp?ctg=11&AID=3975883

 

치매·암 … 중증환자도 장애인 공제 가능
‘13월의 월급’ 꼼꼼히 챙겨야 두둑해져요
열세 번째 월급 봉투를 챙겨야 할 때가 왔다. 연말정산 시즌이다. 대상은 근로 소득이 있는 모든 근로자다. 꼼꼼히 챙기면 소득공제를 많이 받아 세금을 짭짤하게 돌려받을 수 있다. 소득공제란 수입을 올리기 위해 들어간 비용을 소득에서 빼주는 것을 말한다. 소득이 줄면 세금도 줄어 미리 낸 세금의 일부를 돌려받는 것이다. 매년 하는 연말정산이지만 몰라서 놓치는 항목도 여럿 있다. 예컨대 치매·암·중풍 등을 앓는 중증환자들은 세법상 장애인으로 분류한다. 이런 환자를 부양하면 1인당 200만원씩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놓치기 쉬운 연말정산 소득공제 내용을 문답풀이로 알아본다.

-장애인으로 인정되는 중증 환자의 범위는.

“항시 치료가 필요한 환자다. 의료기관으로부터 소득세법에 따른 장애인 증명서를 발급받아 연말정산 신청 때 제출하면 된다. 부양가족이 장애인으로 인정되면 연령 제한 없이 인적 공제 대상이 된다. 이들은 기본공제(150만원)와 장애인 공제(200만원)를 모두 받는다. 이들을 치료하기 위해 들어간 의료비도 공제받을 수 있다. 다만 의료비가 총급여액의 3%를 초과했을 때만 공제받을 수 있다.”

-장인·장모도 인적공제 대상인가.

“부모님(직계존속) 공제 대상에는 장인·장모는 물론이고 시부모도 포함된다. 나이는 60세 이상이어야 한다. 이분들과 같이 살지 않아도 부양가족으로 인정돼 공제받는다. 1인당 150만원씩이다. 70세를 넘었다면 100만원 공제가 추가된다. 차남이나 출가한 딸, 사위 등도 부모님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형제자매 중 한 사람만 공제받을 수 있다.”

-따로 사는 처남을 부양가족으로 올려 공제받으려는데.

“형제자매나 처남·처제·시동생도 부양가족으로 등록해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다. 나이는 20세 이하, 연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이고, 주민등록상 같이 살아야 한다. 따로 살면 소득공제 대상이 아니다. 다만 같이 사는 이들의 신용카드 사용액이나 교육비·의료비 등은 나이에 상관없이 특별공제 등을 받을 수 있다.”


-아내가 아르바이트로 회사에 나가 연간 500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부양가족 공제 대상인가.

“우선 근로소득금액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근로소득금액이란 총급여(연봉-비과세 소득)에서 소득을 올리기 위해 들어간 비용을 뺀 액수다. 연간 500만원의 봉급을 받았더라도 들어간 비용을 빼야 정확한 소득금액이 나온다. 이때 개인마다 들어간 비용을 산출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국세청은 소득별로 근로소득공제액을 정했다. 연소득이 500만원 이하면 근로소득공제액은 400만원이다. 배우자의 ‘근로소득금액’이 100만원을 넘지 않기 때문에 부양가족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맞벌이 부부다. 아내가 아파 남편이 의료비를 냈는데 소득공제 받을 수 있나.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에 대해서는 본인이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학원비를 카드로 결제했다. 어떤 공제를 받을 수 있나.

“교육비 공제와 신용카드 공제를 모두 받을 수 있다. 교육비 공제는 1인당 연 300만원 한도다. 신용카드 공제는 총급여의 20%를 초과한 신용카드 사용액 중 20%를 공제받는다. 예컨대 총급여가 4000만원이고, 신용카드 사용액이 1000만원이라면 200만원(1000만원-800만원(총급여의 20%))의 20%인 40만원을 소득공제 받는다. 그러나 초·중·고생의 학원비는 공제 대상이 아니다.”

-안경 구입 비용도 의료비 공제 대상인가.

“안경(콘택트렌즈 포함) 구입비는 가족 1인당 50만원 이내에서 의료비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시력교정용임을 안경사가 확인한 영수증을 첨부해야 한다. 지난해 12월 31일까지 쓴 미용·성형 수술 비용과 한약 구입 비용도 의료비 공제 대상이다.”

김종윤 기자



연말정산 상담 서비스

인터넷

· 고객만족센터(call.nts.go.kr)
· 맨투맨상담(www.yesone.go.kr/call)

전화

· (국번 없이)126→전문 상담
· (국번 없이)110→간소화 및 단순 상담
· 전국 세무서(02-397-1842~4)→전문 상담

방문

· 전국 세무서(국세청:www.nts.go.kr)
→국세청 소개→전국 세무관서

자료:국세청

2010년 1월 19일 화요일

2배씩 커지는 퇴직연금 시장

2010년 1월 12일 ... [2배씩 커지는 퇴직연금 시장] 퇴직연금 올해 16조 유입 예고. 입력시각 : 2010-01-12 17:12. 퇴직연금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어 금융시장의 ...


2010-01-12 17:12

퇴직연금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어 금융시장의 '빅뱅'을 예고하고 있다.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된 지 4년째인 2008년 말 6조6000억원에 그쳤던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말 14조원으로 1년 사이에 두 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이 가운데 퇴직연금 전용 펀드에 투자된 금액도 작년 말 9693억원에 달해 조만간 1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12일 "현재 기업들이 퇴직금 충당금에 대한 손비인정을 받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은행 퇴직신탁과 퇴직보험이 올해 말로 폐지될 예정이어서 대안인 퇴직연금이 급신장할 수밖에 없다"며 "이에 따라 퇴직연금 적립금은 올해 말 최대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기업 퇴직연금 도입 '러시' 예상

퇴직연금제도는 2005년 말 도입됐지만 확산 속도가 기대에 못 미쳤다. 퇴직연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다 기업 입장에서도 메리트가 별로 없어 노조 반발을 무릅쓰면서까지 굳이 도입할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현행 퇴직금 제도에서는 기업들이 사내에 퇴직금 충당금을 쌓으면 30%까지만 손비인정을 받을 수 있다. 나머지 70%는 퇴직보험이나 퇴직신탁 등 외부에 쌓아야만 손비인정을 받게 된다.

그러나 퇴직신탁과 퇴직보험이 올해 말로 폐지됨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졌다. 노동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기업들이 퇴직금 충당금에 대한 손비인정을 받으려면 퇴직연금을 도입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이 오는 2월 임시국회를 통과하면 신설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퇴직연금을 도입해야 한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개정안이 시행되면 지금 퇴직금 제도하에서도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기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노조 등이 퇴직연금 도입을 반대해왔던 주된 이유는 퇴직연금으로 전환하면 중간정산이 어려워진다는 점이었다. 퇴직연금 가입에 따른 '걸림돌'이 없어진다는 얘기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상당수 대기업들이 개정안 통과 이후 퇴직연금 도입에 대비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연내 기업들의 퇴직연금 가입이 러시를 이룰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가입 가능성이 있는 주요 기업으로 포스코 GS그룹 LS그룹 등을 꼽고 있다. 또 현대차 SK그룹 등도 가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증시는 장기 투자자금 '훈풍' 기대

주식시장은 퇴직연금 시장 확대로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된다. 은행과 보험사에 쌓아 있던 사외 적립금 중 일부가 유입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1981년 한국의 퇴직연금에 해당하는 기업연금제도를 도입한 후 1996년까지 기업연금 펀드에서 3640억달러어치의 주식을 순매수해 다우지수 '10,000포인트 시대'를 여는 데 기여했다.

김성준 삼성투신 연금컨설팅팀장은 "퇴직연금은 한번 증시에 들어오면 10~20년 정도 장기투자하기 때문에 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까지는 안전중시 투자성향 등으로 퇴직연금 적립금 중 주식이나 채권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되는 비중은 13% 수준(2009년 9월 기준)에 불과하고 86%가량은 은행과 보험사의 원리금보장 상품에 들어 있다. 손성동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 상무는 "퇴직연금이 주로 은행과 보험 쪽으로 운용되고 있지만 미국 등 선진국 사례에 비춰보면 한국도 앞으로 주식 투자비중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규모 자금이동이 예상됨에 따라 은행 · 보험 · 증권사 등은 전담인력을 확충, 치열한 유치전을 예고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전국 1000여개 지점에 퇴직연금 전담자를 각각 2명씩 배치해 영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올해부터 영업점 성과 평가 기준에 퇴직연금 유치 실적을 필수 항목으로 포함시키고 본점 신탁사업단 내에 퇴직연금부를 신설했다. 이에 맞서 한국투자증권은 65명인 인력을 두 배로 키우기 위해 신규 인력 채용을 서두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