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인 영어마을 열풍의 근원지인 경기도영어문화원의 김주한 교육운영본부장.
손 지사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그는 임무를 맡은 처음 6개월 동안 영어교육 전문가들만 만났다고 한다. 영어마을의 콘텐츠, 즉 학습 프로그램을 어떤 것으로 채워야 하는지 큰 방향을 잡기 위해서였다.
교수, 교사, 커리큘럼 전문개발자, 원어민 영어 교수 등 수많은 전문가들을 인터뷰했지만 그들의 의견은 두 갈래로 나뉘었다.
영미권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교수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과, ESL을 채택하면 다른 사설학원과 다를 게 없기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커리큘럼을 자체 개발해야 한다는 반박이 대립한 것.
고심 끝에 경기 영어마을은 자체적인 커리큘럼 개발로 방향을 정했다. 그리고 우리 현실에 맞는 최상의 프로그램을 만들어내기 위해 국내 영어 전문가들과 원어민들이 머리를 맞댔다.
“지금 생각해 봐도 그때가 영어마을의 진로에 하나의 분수령이 된 것 같습니다. 만약 ESL 방식을 도입했다면 현재와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을지 솔직히 의문입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외국인이 말을 걸면 뒷걸음질부터 치던 학생들이 영어마을에 들어온 후부터는 먼저 인사를 건넬 만큼 180도 달라졌다.
물론 짧은 기간의 영어마을 체험이 영어 성적을 단기간에 쑥쑥 올리는 것은 아니지만, 영어 학습 의욕을 북돋우고 외국인과의 대화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데 보탬이 됐다.
“학습 효과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도 더러 있지만 영어마을에 직접 와보면 아이들의 변화를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입교 후 첫째 날, 둘째 날까지는 멀쩡한 아이들이 꾀병을 부려 양호실에 오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심적 위축과 불안감을 떨치지 못해서죠. 하지만 5박6일을 채우고 나가는 날이 되면 원어민 선생님들과 헤어지기 싫어 우는 아이들이 한두 명이 아니에요. 그만큼 영어와 외국인에 대해 친숙해졌다는 의미죠.”
경기 영어마을은 입교생의 20% 정도를 저소득층 자녀에게 할당, 무료로 체험 학습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부모의 소득 격차가 자녀들의 영어 격차(English Divide)로 이어지고, 다시 소득 격차를 재생산하는 우리 사회의 왜곡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의도다. 또한 경기도 교육청과 업무 협약을 맺어 5박6일 체험 프로그램을 수업 일수로 인정해주는 것도 영어 공교육의 미비점 보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어 과목과 관련한 정부의 7차 교육과정 목표는 선생님과 학생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지만 일부 외국어 고등학교를 제외한 대부분 학교에서는 공염불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이런 점을 감안했을 때 영어마을은 공교육의 부실함을 충분히 메울 수 있는 매력적인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물론 6일 동안 외국인들과 대화했다고 하여 영어가 쑥쑥 늘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나도 노력하면 그들과 말이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것만으로도 큰 소득이지 않을까.
trackback from: careeryoo의 생각
답글삭제[커버스토리 · 영어마을 열풍] ″영어 공교육 미비점 메워줄 대안″ “영어마을을 처음 구상한 손학규 경기도지사가 저를 불러 지시한 내용은 딱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가 영어마을은 절대 사교육이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고, 둘째가 저소득층 자녀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